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尹대통령 "우즈베크와 미래로" 미르지요예프 "가까운 친구"(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빈 방문 중 정상회담·공동언론 발표…한국 고속철 첫 해외수출

미르지요예프 대통령 "한반도 담대한 구상 지지"

연합뉴스

웃으며 악수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우즈베크 대통령
(타슈켄트[우즈베키스탄]=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우즈베키스탄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대통령궁 영빈관에서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한·우즈베키스탄 공동언론발표를 마치고 웃으며 악수하고 있다. 2024.6.14 hihong@yna.co.kr



(타슈켄트[우즈베키스탄]=연합뉴스) 안용수 김승욱 기자 = 우즈베키스탄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특별전략적동반자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공동언론발표에서 "대한민국은 87년 전 고려인 동포들을 따뜻하게 품어준 형제 국가 우즈베키스탄과 함께 미래로 도약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오랜 기간 양국의 핵심 협력 분야로 자리 잡은 인프라 분야의 협력을 더욱 확충해 나가기로 했다"며 이번 국빈 방문을 계기로 한국 고속철의 우즈베키스탄 수출 계약이 성사됐음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오늘 우즈베키스탄에 대한 한국의 고속철 차량 수출 계약이 체결됐다"며 "이는 우리 기술력으로 개발한 고속철 차량의 첫 수출 사례"라고 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우즈베크 국빈방문 공식환영식
(타슈켄트[우즈베키스탄]=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오전(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대통령궁 영빈관 광장에서 열린 공식환영식에서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함께 걷고 있다. 2024.6.14 hihong@yna.co.kr (끝)



윤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했다.

윤 대통령은 "우즈베크의 WTO 가입을 위한 한-우즈베크 양자협상이 최종 타결돼 이번 계기에 서명하게 된 것을 환영한다"며 "대한민국은 우즈베키스탄 WTO 가입 작업반의 의장국으로서 우즈베키스탄의 조속한 가입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 정상은 한반도와 중앙아시아 정세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두 정상은 최근 한반도 정세에 대해 논의하고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계속 동참해 나가기로 했다"며 "우즈베키스탄이 비확산 선도국으로서의 우리 대북정책을 한결같이 지지해주고 있는 데 대해 사의를 표한다"고 했다.

이어 "미르지요예프 대통령님이 우리의 'K 실크로드 협력 구상'과 내년 '한-중앙아 정상회의' 개최 계획에 대해 전폭적인 지지 입장을 밝혀주신 데 대해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우즈베크 의장대 사열
(타슈켄트[우즈베키스탄]=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오전(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대통령궁에서 열린 공식환영식에서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의장대 사열을 하고 있다. 2024.6.14 hihong@yna.co.kr (끝)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한국은 최근 몇 년간 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지역으로 매우 강하게 발전하고 있다"며 "우리와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우리 민족과 전통과 가치관, 그리고 세계관이 많이 비슷하다"고 말했다.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가까운 특별전략적동반자인 국가가 이러한 성과들을 거둬 기쁘다"며 "한국의 가까운 친구로서, 부지런하고 친절한 한국 국민들이 거둔 이러한 큰 성과가 정말 자랑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윤 대통령이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증진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담대한 구상을 지지한다"며 "우즈베키스탄의 WTO 가입 과정에 대한 한국의 지원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욱 심화시키기로 하고, 포괄적으로 확장하기 위한 공동성명 20개가량의 문서가 양국 관계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kind3@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