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트럼프, 의사당 난입 3년반만에 ‘워싱턴 컴백’… CEO들도 줄서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화 상하원 의원들과 비공개 회동

생일케이크 촛불 켜고 재선 기원

‘밀워키는 끔찍한 도시’ 비하 논란

“재선땐 소득세 폐지, 관세로 충당”

동아일보

워싱턴서 ‘47대 대통령 응원’ 생일 케이크 받은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오른쪽)의 2020년 대선 패배에 대한 반발로 발생한 2021년 ‘1·6 의사당 난입’ 사태 3년 반 만인 13일(현지 시간) 트럼프 전 대통령이 수도 워싱턴 의사당 구역을 공개 방문했다.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14일 78세 생일을 맞는 그를 위해 의사당 인근 당 건물에서 케이크를 준비했다. 초 ‘45’와 ‘47’은 45대 대통령이었던 트럼프가 11월 대선에서 승리해 47대 대통령이 되길 바란다는 의미다. 사진 출처 X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일 축하합니다! 박수!”

13일(현지 시간) 미국 수도 워싱턴 의사당에서 한 블록 떨어진 ‘캐피톨 힐 클럽’. 공화당 소속 연방 하원의원들이 78세 생일을 하루 앞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향해 다 같이 축하 노래를 불렀다. 로저 윌리엄스 의원은 전날 민주당 의원들과의 야구 경기를 31―11로 승리로 이끈 야구공과 방망이를 선물로 건넸다. 윌리엄스 의원은 “공화당 의원들이 트럼프에게 승리를 안겨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같은 날 자리를 옮겨 공화당 소속 연방 상원의원들과 또 한 차례 생일 파티를 했다. 상·하원 주요 인사들이 대거 출동한 이날의 ‘워싱턴 컴백’ 행사는 공화당 대선 후보로서 트럼프의 당 장악력을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성 지지자들이 2020년 대선 결과에 불복해 저지른 2021년 ‘1·6 의사당 난입’ 사태로 그와 거리를 두던 인사들이 3년 만에 아첨하는 듯한 모양새를 보였기 때문이다.

AP통신은 “의사당 바로 인근에서 이뤄진 이날 행사는 ‘평화로운 권력 이양’이라는 미국의 전통을 위협했던 전 대통령의 복귀에 대한 상징으로 가득 차 있었다”고 평했다.

● 트럼프, 3년 반 만의 워싱턴 ‘금의환향’

동아일보

박수받는 트럼프 ‘1·6 의사당 난입’ 사태 발생 3년 반 만인 13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을 공개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의사당 인근 전미공화당상원위원회 본부에서 공화당 상원의원들에게 둘러싸여 박수를 받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공화당이 엄청나게 단결했다”고 연설했다. 사진 출처 X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6 사태 이후 3년 반 만에 워싱턴 의사당 구역을 공개적으로 찾은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공화당 상·하원 의원들과 잇달아 비공개 회동을 했다. 상원의원들도 하원의원들에 이어 회동을 위해 성조기가 그려진 생일 케이크를 준비하고, 숫자 ‘45’(재임 당시 ‘45대 대통령’ 의미)와 ‘47’(재선 성공 시 ‘47대 대통령’ 의미)이 적힌 초에 불을 켜며 지지 경쟁을 벌였다.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들에게 ‘성추문 입막음’ 형사재판에서 받은 유죄 평결에 대해 비판했고, 당내 강경파인 맷 게이츠 의원은 “하원은 사법당국에 지갑의 힘을 보여주겠다”고 충성 맹세를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종 혐의를 들춰내는 사법당국에 대해 예산을 삭감하겠다는 얘기다.

트럼프 전 대통령과 상원 공화당 원내대표인 미치 매코널의 3년 반 만의 재회도 주목받았다. 매코널 원내대표는 1·6 사태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책임이 있다며 비판해온 대표적 인물이다. 하지만 이날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화당이 엄청나게 단결했다”며 연설을 마치자 그는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고, 악수를 하고 ‘주먹 인사’를 나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회동에서 각종 논란성 발언도 쏟아냈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그는 2020년 대선 당시 조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한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에 대해 “날 지지하지 않아 놀랐다”며 “이해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7월 공화당 전당대회가 열리는 위스콘신주 밀워키를 두고는 ‘끔찍한 도시(horrible city)’라고 비하했다. 밀워키는 민주당 ‘텃밭’인 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20년 대선 패배 직후 이 지역의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했다.

● 美 거물 CEO 줄줄이 ‘트럼프 열공’

공화당 상·하원 의원 회동 사이 워싱턴에서 이뤄진 미 재계 단체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주최 행사에 미 주요 경영진 80여 명이 줄을 서는 모습도 연출됐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CEO,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CEO, 브라이언 모이니핸 뱅크오브아메리카(BoA) CEO 등도 참석했다.

CNBC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백악관에 복귀하면 소득세를 포함한 세금을 인하하고 첫 임기 동안 시행했던 경제 정책을 그대로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의원들과의 회동에서도 수입품에 대한 ‘전방위 관세 부과(all tariff policy)’를 통해 미국이 소득세를 없앨 수 있을 것이라는 구상을 내놨다고 CNBC는 전했다. 소득세를 폐지해 물가 인상에 대응하고, 부족한 세수는 수입품 관세 인상을 통해 충당하겠다는 구상으로 보인다.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