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K-푸드 인기에 음식료株 ‘빚투’ 늘어…변수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음식료품 업종지수 26% 급등

수출 증가·실적 개선 기대감 영향



헤럴드경제

지난달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중소기업인대회'에 만찬 메뉴로 불닭볶음면이 준비되어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희량 기자] K-푸드 인기로 수출 실적 개선 기대감이 발생해 주가가 고공행진 중인 음식료 종목들에 빚을 내서 투자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15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해태제과식품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13일 기준 11억5900만원으로 한 달 전(1억700만원)보다 10배(983%) 증가했다.

해태제과식품은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 내 신용융자 잔고 증가율 상위 종목 순위에서 2위다.

신용융자 잔고는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로부터 자금을 빌린 뒤 변제를 마치지 않은 금액을 의미한다. 이 잔고가 늘었다는 것은 빚을 내서 투자하는 일명 '빚투'가 많아졌음을 일컫는다.

롯데웰푸드는 신용잔고가 6억8300만원에서 34억2700만원으로 한 달 새 402% 증가, 농심홀딩스는 2억6300만원에서 9억1100만원으로 한 달 전보다 246% 늘었다.

아울러 크라운제과(164%), CJ씨푸드(163%), 한성기업(141%), 풀무원(128%), 동원F&B(108%) 등 다른 음식료주의 신용잔고도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 평균 신용잔고 증가율(6.3%)을 크게 넘어선다.

특히 최근 삼양식품의 1분기 면·스낵 해외 매출액이 작년 동기 대비 83% 증가하면서 K-푸드 해외 매출 확대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여기에 지난 12일 농심이 수출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신규 물류센터를 건립하고 14일에는 사조대림이 미국에 냉동김밥 36t(톤)을 수출했다고 밝히면서 기대감이 더욱 모였다.

지난 1일 롯데웰푸드가 코코아 제과 제품 17종의 가격을 평균 12% 인상하고, 같은 날 롯데칠성이 6개 음료 출고가를 평균 7% 인상한 것도 투자심리를 건드렸다.

권우정 교보증권 연구원은 "식품업체들의 가격 인상 발표가 진행되고 있는 점이 업종 센티멘털(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아울러 외식 대비 가공식품 가격의 메리트가 부각되며 국내 물량 수요가 증가하고, 해외 매출 확대가 진행 중"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음식료품 업종지수는 최근 한 달 사이 26% 올라 업종 수익률 1위를 차지했다. 상장지수펀드(ETF) 중 국내 식품기업에 투자하는 'HANARO Fn K-푸드' 상승률은 27%에 이르렀다.

음식료 기업 주가가 최근 가파르게 올랐지만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시각이다.

권 연구원은 "최근 음식료 업종 밸류에이션(평가가치) 상승에도 불구하고 현재 음식료 업종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률(P/E)은 10배로 크게 부담스러운 구간은 아니다"라며 "지난 20년간 음식료 업종 P/E는 13.4배 수준이었고, 음식료 업종은 본래 안정적인 실적을 낸다는 점에서 코스피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을 적용받아왔다"고 했다.

이어 "최근 음식료 업종 지수 상승은 2011∼2012년 리레이팅(재평가) 시기와 유사한데, 당시 판가 인상과 해외 수출 확대로 2011년과 2012년 음식료 업종 수익률은 각각 22.6%, 25.6%로 코스피 수익률을 크게 상회했다"며 "과거 리레이팅 시기를 감안할 때 추가 밸류에이션 상승 여력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반면 라니냐(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은 상태) 발생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은 변수 중 하나다. 라니냐로 곡물 가격이 상승할 경우 음식료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어서다.

조상훈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 라니냐가 발생할 가능성이 점증되는 상황에서 곡물 가격은 올해 연말∼내년 상반기 본격적인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며 "곡물 가격 상승은 음식료 기업에 가격 인상의 명분으로 작용하나 단기적으로는 원가 부담에 따른 매출총이익률 훼손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내보다는 가격 전가가 용이한 해외 사업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으로의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CJ제일제당과 삼양식품에 대한 관심이 유효하다"고 말했다.

hop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