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종합 라인업' 갖춘 강자…LG전자 승부수[냉난방공조가 뜬다③]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 대형 데이터센터 단지에 '칠러' 공급

냉난방공조 매출, 2030년까지 2배 이상↑

뉴시스

[서울=뉴시스]LG전자 초대형 냉방기 ‘칠러’가 해외 시장에서 최근 3년간 연평균 40%에 육박하는 매출 성장세를 기록하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를 통해 LG전자의 신성장동력 중 하나인 B2B 냉난방공조(HVAC) 성장을 이끄는 첨병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사진은 LG전자 칠러 대표 제품인 터보 냉동기. (사진=LG전자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글로벌 친환경 정책 강화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급증으로 냉난방공조 및 전력 효율화 솔루션 사업을 하는 LG전자가 주목받고 있다.

LG전자는 최근 미국 빅테크 기업에 AI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을 처음 공급하는 등 미래 성장성이 큰 냉난방공조(HVAC) 시장 잡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KB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가전 및 전장부품 사업의 실적 호조로 LG전자가 올 2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AI 냉각 시스템 공급 확대를 포함한 냉난방공조 사업이 LG전자의 차세대 효자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대부분 데이터센터는 공랭식 기반 냉각 시스템으로, LG전자는 데이터센터에 최적화된 공랭식 통합제어 솔루션 부문에서 앞선 기술을 갖고 있다. 국내 주요 통신사 및 은행, 정부기관 등이 운영하는 데이터센터 냉각 장치에도 LG전자 제품이 상당부분 쓰인다.

LG전자는 최근 미국에서 건립 중인 대형 데이터센터 단지에 '칠러'를 활용한 5만 냉동톤(RT) 규모의 냉각시스템을 공급하기도 했다. 칠러는 냉매로 물을 냉각시켜 차가운 바람을 만들고 냉방을 공급하는 설비로 공항이나 쇼핑몰, 발전소, 데이터센터 등에서 최적화할 수 있다.

1냉동톤은 물 1톤을 24시간 안에 얼음으로 만들 수 있는 용량으로 5만 냉동톤은 한국 스타필드 3.5배 공간을 냉방할 수 있는 양이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전문가들은 LG전자의 AI 냉각 시스템 경쟁력이 높은 에너지 효율로 전력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데이터센터 운영비 절감이 가능하다고 본다. 이 시스템에는 친환경 부품까지 탑재해 북미와 유럽의 친환경 정책에도 부합한다는 평가다.

LG전자는 특히 북미 지역에 냉각 시스템 공급이 늘면서 관련 매출의 고성장이 기대된다. 현재 북미 데이터센터(5350개) 시장은 전 세계 데이터센터(1만1800개)의 45%를 차지하는데, 전 세계 데이터센터 냉각 시장 규모도 2023년 18조원에서 2030년 38조원으로 7년만에 2배 성장할 조짐이다.

LG전자의 냉난방공조 매출도 AI 냉각 시스템 확보에 힘입어 지난해 4조2000억원에서 2030년 8조5000억원까지 2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내년에는 이 AI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 매출이 LG전자 냉난방공조 매출의 20%를 차지하며 조 단위 매출도 가능할 수 있다.

조주완 LG전자 사장은 이미 지난해 B2B(기업간거래) 사업에서 중요한 축을 차지하는 가정·상업용 냉난방공조 사업 매출을 2030년까지 2배 이상 성장시키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LG전자는 올해 기준 아시아 시장 규모를 47억 달러(6조원)로 추산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lovelypsyche@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