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日아사히 "니가타현 역사에 '사도에서 조선인 강제노동' 기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도금산 홍보 때 역사적 사실 중시하면 어떻겠나"

세계유산 등재 '보류' 판정…7월 등재 목표로 대응

뉴스1

사도광산. 2022.05.09. ⓒ AFP=뉴스1 ⓒ News1 박기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조소영 기자 = 진보 성향의 일본 유력 일간지 아사히신문이 15일 사도광산의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역사를 가감 없이 담아야 한다는 취지의 칼럼을 실어 주목된다.

이날 실린 '사도금산의 홍보, 역사적 사실 어디까지'라는 제목의 칼럼에는 "1988년 니카타현에서 발간한 나가타현사(史)에는 과거 조선인이 강제연행 되어 사도에서 일했다고 기록돼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당시 사도광산을 경영하던 미쓰비시 광업에서는 회사 측이 '조선인에 대해 노골적인 열등 민족관을 숨기려고 하지 않았다'는 점, '고삐를 늦추지 않는 관리가 필요했다는 점', '민족 차별적 임금에 불만을 품고 도주한 사례가 있었다'는 점 등이 기록돼 있다"고 지적했다.

칼럼은 그러면서 "사도금산을 홍보할 때도 좀 더 역사적 사실을 중시하면 어떨까"라며 "이코모스(ICOMOS)에서 이번에 내놓은 보고서를 보면 세계 다른 지역에서 기계화가 진행되던 시기에 사도에서는 250년 이상 수작업으로 생산이 지속됐다는 점, 그 모습을 기록한 두루마리 등 자료가 풍부하게 남아 있다는 점 등을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칼럼은 특히 "문화청 홈페이지나 사도시 전시시설에서는 '사도의 금은 세계에서도 유통된다', '네덜란드인이 대량의 사도 소판을 입수했다', '17세기 세계 최대의 금 생산지'라는 장대한 표현이 즐비하다. 하나즈미 히데요 니카타현 지사도 파리에서 '17세기 전반에는 세계 전체 금 생산량의 약 10%를 생산했다'고 각국 대표들에게 홍보한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이런 문구는 역사 전문가들도 들어본 적이 없다고 한다"고 짚었다.

일본은 지난 6일 유네스코 자문·심사기구인 이코모스로부터 일본 사도광산에 대한 세계문화유산 등재 건과 관련해 '보류'를 권고받았다.

이코모스에서는 일본 측에 "광업 채굴이 이뤄졌던 모든 시기를 통해 추천 자산에 대한 전체 역사를 현장 수준에서 포괄적으로 다루는 설명 및 전시 전략을 수립하고 시설·설비 등을 정비하라"고 요청했다.

뉴스1

주한일본대사관 대사대리 자격으로 나미오카 다이스케 경제공사가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외교부로 초치되고 있다. 이날 일본 정부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을 시행했던 니가타현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정식 추천서를 유네스코에 다시 제출했다. 2023.1.20/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 일본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해 일본이 유산의 대상 기간을 일제강점기 전까지인 에도시대(금광 이용)로 한정함으로써 강제징용 언급을 피하려 한다고 지적해왔다.

이에 따라 이코모스가 일본 측에 사도광산의 '모든 시기'를 거론하며 '보류'를 권고한 것은 강제징용 역사에 대한 문제까지 개선할 것을 권고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일본 정부는 지난 2022년 2월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정식 추천한 바 있으나 유네스코가 추천서에 미흡한 점이 있다고 판단해 미비점을 수정해 재제출하라고 요청했다.

이후 지난해 1월 유네스코의 지적사항을 보완해 추천서를 다시 제출했다.

그러나 지난 6일에 이코모스로부터 '보류' 결정을 받았다.

일본 정부는 보류 권고를 받았지만 그해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가 허용되는 사례도 있었던 만큼, 오는 7월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의 '사도광산 등재'를 목표로 대응해나간다는 방침을 세웠다.

21개 위원국이 참여하는 세계유산위원회는 통상 만장일치 결정이 관례이지만, 견해가 다를 경우,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등재가 가능하다. 한국은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으로, 일본은 사도광산과 얽힌 한국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cho11757@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