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日 유력 언론 “니가타현, 36년 전 ‘조선인 사도 강제노동’ 인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이 강제동원돼 가혹한 노동에 시달렸던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내부.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추진 중인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에 유네스코가 ‘강제노역도 설명하라’는 취지의 권고를 내린 상황에서 일본의 유력지인 아사히신문이 지자체 당국이 36년 전 ‘사도광산에서 조선인 강제노역이 있었다’고 인정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아사히신문은 15일 ‘사도광산 PR 사실은 어디까지’라는 기자칼럼에서 “니가타현은 36년 전 ‘니가타현사’에서 일찍이 조선인이 강제 연행돼 사도에서도 일했다고 적었다”고 밝혔다.

니가타현이 1988년 펴낸 ‘니가타현사 통사편’에는 “쇼와(昭和) 14년에 시작된 노무동원 계획은 명칭이 ‘모집’, ‘관(官) 알선’, ‘징용’으로 바뀌었지만, 조선인을 강제적으로 연행했다는 사실에서는 같다”고 적혀 있다. 이런 사실은 앞서도 여러 언론에서 보도된 바 있다.

2022년 마이니치신문은 니가타현사의 조선인 강제동원 기술에 대해 “지자체가 독자적으로 편찬한 것이라고 해도 강제 연행이 없었다고 생각하고 싶은 일본 정부로서는 불편한 공적역사책이 있는 것이 틀림없다”고 했다.

사도광산은 일제강점기 시절 약 2000명으로 추산되는 조선인이 강제 노역을 한 곳이다.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 유산 등재를 신청하며 대상 기간을 에도시대(1603~1867년)로 한정한 바 있다. 한국 정부는 일제강점기를 포함한 사도광산 전체 역사를 반영해 세계유산 심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는 지난 6일 공개된 심사결과에서 “전체 역사를 현장 수준에서 포괄적으로 다루는 설명·전시 전략을 책정해 시설과 설비를 갖추라”고 요구했다.

일본 정부는 이코모스의 권고에 명확한 방침을 밝히지 않았다. 그간 일 정부는 유산 등재와 관련해 “한국 정부와 성실하고 부단하게 정중히 논의해 나가겠다”는 입장만 되풀이 해왔다.

일부 일본 시민단체도 정부에 강제노역을 인정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시민단체 ‘강제동원 진상규명 네트워크’는 지난 12일 니가타현 지사 등에게 니가타현립 문서관에 있는 ‘반도 노무자 명부’ 공개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아사히신문은 사도시 전시 시설에 게세된 일부 표현에 대해서도 “역사전문가도 들어본 적 없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해당 문구는 ‘17세기 세계 최대 금 생산지’ ‘사도의 금은 세계에서 유통’ 등이다. 오카미호코 도쿄대 교수는 아사히 신문에 “세계 생산량이 확실하지 않은데 사도가 세계 최대라고 말할 근거는 없는 듯하다”고 했다.

사도광산의 세계 유산 등재 여부는 다음달 하순 인도 뉴델리에서 열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