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니가타현, 36년 전 조선인 사도광산 강제노동 기술" 日아사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니가타=AP·교도/뉴시스]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 '사도광산'은 '니시미카와긴잔(西三川砂金山)'과 '아이카와쓰루시긴긴잔(相川鶴子金銀山)' 등 2개로 구성돼 있다. 사진은 2021년 8월 19일 사도광산의 상징적인 채굴터인 아이카와쓰루시긴긴잔의 '도유노와리토(道遊の割?)'의 모습. 2024.06.15.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박준호 기자 =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佐渡)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이 유네스코로부터 역사적 설명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보류된 가운데, 아사히신문은 니가타현 당국이 36년 전 조선인 강제노역을 인정한 사실이 있다고 15일 보도했다.

아사히는 이날 '세계유산 사도광산 PR, 사실은 어디까지'라는 제목의 기자칼럼에서 "36년 전 니가타(新潟)현이 펴낸 니가타현사(新潟?史)는 과거 조선인들이 강제 연행돼 사도에서도 일했다고 적었다"고 지적했다.

니가타현사 통사편8근대3(1988년)에는 '강제연행된 조선인'이라는 항목이 있다. 여기에는 "쇼와 14년(1939)에 시작된 노무동원 계획은 명칭이 '모집', '관(官) 관여', '징용'으로 변화하고는 있지만 조선인을 강제적으로 연행했던 사실에 있어서는 동질적이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니가타 현사의 기술에 따라 니가타현 아이카와 마을(현재의 사도시)의 '사도 아이카와의 역사 통사편 근·현대(1995)'는 조선인 동원의 구체적인 상황을 제시하며 '사도광산의 비정상적인 조선인 연행'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사도광산은 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노역했던 현장이다. 에도(江戶)시대(1603~1868년)부터 유명한 금광이었으며 태평양전쟁 때는 구리, 철 등 전쟁물자를 캐는 데 활용됐다.

일본은 사도광산 등재를 위한 기간을 에도시대까지로 한정했고, 의도적으로 조선인 강제노역 시기를 지운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6일 문화유산 등재 심사를 담당하는 유네스코의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 세계 유산 등재를 보류하고 추가 정보를 요구했다.

일본 문화청이 발표한 이코모스의 권고에는 "광업 채굴이 이뤄지고 있던 모든 시기를 통한 추천 자산에 관한 전체 역사 현장 레벨에서 포괄적으로 다루는 설명·전시 전략을 책정해 시설·설비를 갖추는 것" 등의 요청 사항이 포함됐다. 사실상 조선인 강제노역 등 전체 역사를 반영하라는 권고였다. 이코모스의 권고는 7월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세계유산 등재 여부를 판단할 때 큰 영향을 끼친다.

그러자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에도(江戶)시대(1603~1868년) 이후 유산이 차지하는 지역을 제외하라는 자문기구 권고를 수용, 사도광산의 구성자산 범위에서 아이카와쓰루시(相川鶴子) 긴긴잔(金銀山)에 있는 ‘기타자와(北?)지구’를 제외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기타자와 지구는 사도광산을 상징하는 대표 유산으로, 20세기 중반에 발전소와 광산 시설 등으로 쓰인 거대한 콘크리트 건물 흔적이 남아 있어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 20세기에 본격 조성된 곳인 만큼 에도시대로 세계유산 대상 시기를 한정한 일본 정부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게 이코모스의 해석이다.

이에 일본 정부가 유산 범위에서 '기타자와 지구'를 제외하기로 한 방침을 놓고, 일각에선 강제동원 역사를 감추고 등재를 현실화하려는 의도로 보는 시각도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h@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