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尹, 우즈벡 사마르칸트 방문 마지막으로 순방 마무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즈벡 대통령, 직접 사마르칸트 유적지 소개

"중앙아와 전력적 파트너십 모색할 수 있게 돼"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유적지 방문을 마지막으로 중앙아시아 순방 일정을 마무리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순방이 계기로 한국과 중앙아시아의 중·장기적 협력 기반을 다졌다고 평가한다.

이데일리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5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의 고도 사마르칸트에 도착해 전용기인 공군 1호기에서 내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함께 우즈베키스탄의 고도 사마르칸트를 방문했다. 사마르칸트 주지사를 지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윤 대통령에게 아프로시압 박물관, 레기스탄 광장 등을 직접 소개했다. 이 가운데 아르로시압 박물관엔 7세기 경 한반도 사신으로 추정되는 벽화가 그려져 있어 양국의 오랜 관계를 보여주는 장소로 꼽힌다. 윤 대통령은 사마르칸트 시찰 후 미르지요예프 대통령 내외와의 친교 오찬을 마지막으로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10일부터 5박 7일 동안 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3국을 국빈 방문했다. 윤 대통령의 해외 방문은 지난해 12월 네덜란드 방문 이후 6개월 만이었다. 이번 순방엔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도 동행했다.

이번 방문에서 윤 대통령은 광물 등 경제외교에 주력했다. 그 결과 우라늄·텅스텐 등이 풍부한 자원 부국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핵심광물 파트너십 등을 맺는 성과를 냈다. 인프라 수요가 늘고 있는 중앙아시아 국가에서 탈황설비·전력망 등 한국 기업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한 것도 성과로 꼽힌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이번 순방에 관해 “이들 세 나라와 신뢰 관계를 다진 순방이었다고 평가하겠다”며 “지속가능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모색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또한 “중앙아시아가 한국에 호감을 갖고 전략적 협력을 모색하도록 우리의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를 적절히 접목시켜 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외교적으론 중앙아시아 3국은 윤석열 정부의 중앙아시아 특화 외교전략인 ‘한-중앙아시아 K-실크로드 협력 구상’에 지지를 표명했다. 정부는 중앙아시아 5국(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키르키즈스탄)과 내년 한국에서 정상회의를 열 계획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