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엘살바도르 이웃' 온두라스도 대형 교도소에 갱단원 가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만명 수용 규모, 즉시 건설"…부켈레式 치안 대책 '벤치마킹'

연합뉴스

엘살바도르 대형 수용시설에서 대기 중인 수감자들
[엘살바도르 대통령실 제공.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중미 온두라스가 마약 밀매·폭력 집단의 강력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이웃 나라 엘살바도르의 치안 정책을 연상시키는 '메가 교도소' 건립 계획을 발표했다.

온두라스 대통령실은 국가안전보장회의(CNDC) 의결을 거쳐 민생 치안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범죄 퇴치를 목표로 한 14개 조처를 마련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시오마라 카스트로 온두라스 대통령은 전날 밤 공영 TV 방송을 통해 생중계된 연설에서 "이번 결정은 폭력 범죄 증가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에 대응하려는 것"이라며 "군대와 경찰이 살인, 마약과 무기 밀매, 납치, 돈세탁과 같은 범행 발생 지역 치안 안정화에 개입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온두라스 정부는 특히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동부 지역 올란초와 그라시아스아디오스 사이에 2만명 수용 규모의 '긴급 감금센터'(CRE)를 즉시 건립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시오마라 카스트로 온두라스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는 국경을 맞대고 있는 엘살바도르의 테러범수용센터(CECOT·세코트)를 연상시킨다.

중남미 최대 규모인 4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엘살바도르 세코트는 '테러리스트'로 규정된 갱단원을 한꺼번에 가둬놓기 위해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이 구상한 시설이다. 수감자에 대한 인권 침해 논란을 낳기도 하지만, 최악의 엘살바도르 치안을 단시간에 안정화한 상징적인 장소로 꼽히기도 한다.

온두라스 당국은 카리브해 섬 지역에 2천명을 수용할 수 있는 또 다른 교도소 건설 입찰도 곧 진행할 예정이다.

온두라스 정부는 또 노인, 불치병 환자, 장애인 등이 징역으로 이어질 수 있는 범죄를 저질렀을 경우 위치추적 전자장치(전자팔찌)로 당국 감시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마련하기로 했다.

유엔 마약·범죄연구소(UNODC)에 따르면 온두라스 살인 범죄율은 인구 10만 명당 35.1명(2022년 기준)으로, 전 세계 평균의 6배(5.8명·2021년 기준)에 달한다.

교도소 내 폭동도 잦다. 지난해 6월에는 여성 교도소에서 발생한 소요 사태로 40여명이 숨졌고, 2019년엔 갱단원 간 분쟁으로 18명의 수감자가 사망한 바 있다.

walde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