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北에도 전기차가? 최대 주행 720km라는 '마두산 전기 자동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마두산 전기자동차'라고 적힌 번호판을 단 전기차. 사진 유튜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한 자동차 수입사가 전기차를 수입해 판매 중인 정황이 포착됐다.

북한 관련 영상들을 올리는 유튜브 채널 'KANCCTV'은 지난 15일 '마두산경제연합회'라는 북한 회사를 소개하는 8분가량의 영상을 게시했다. 지난 2018년 5월 설립됐다는 마두산경제연합회는 투자와 무역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대외무역기관으로 알려져 있다. 영상은 이 기관이 전기차 수입 및 판매 외에도 선박 운송업, 북부지구의 광산·탄광 개발운영, 귀금속 가공 및 수출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한다고 소개했다.

영상은 "마두산전기차자동차기술교류소는 해외의 유력한 전기자동차생산회사, 전기자동차봉사회사들과의 협력과 교류 밑에 전기자동차 수입과 판매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마두산 전기자동차'라고 적힌 번호판을 단 전기차가 빗길을 달려 전시장에 도착하는 모습을 선보이면서 최대 주행거리는 720㎞라고 소개했다.

중앙일보

마두산 전기 자동차. 사진 유튜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마두산 전기 자동차. 사진 유튜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영상은 마두산경제연합회에 대한 해외 투자자나 협력사 유치를 위해 만들어진 홍보 영상으로 보인다. 또 북한 회사가 직접 전기차를 생산 개발하기보다 해외 수입을 통해 판매코자 하는 것으로도 추정된다.

최근 전기차에 대한 북한의 관심은 늘어나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평양 화성거리에 '마두산 전기자동차 전시장'을 연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중국 SNS 웨이보에선 전시장에 중국 전기차 1위 기업인 비야디(BYD)의 전기차로 추정되는 전기차 수 대가 전시된 사진이 올라왔다.

다만 북한에서 자동차·선박 운송 등 대부분의 사업이 대북 제재 위반 소지가 있어 중국·러시아의 투자 외에는 성과를 내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지혜 기자 han.jeehye@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