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서울 아파트 상반기 거래량 3년 만에 최다… 실거래가도 고점 88% 회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반기 기준으로 3년 만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거래 아파트 실거래가격도 전고점의 88%까지 올라왔다.

조선비즈

지난 13일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시민들이 서울 송파구 잠실동과 강남구 일대 아파트 단지를 내려다보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부동산R114와 함께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6월 14일 현재 계약일 기준)은 총 1만7980건을 기록했다.

이는 반기 기준 2021년 상반기(2만5820건) 이후 가장 많은 거래량이다. 지난해 하반기 1만6053건과 비교하면 8% 늘어난 수준이다.

올 상반기 최종 거래량은 2만건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6월이 아직 2주 남았고, 5월과 6월의 매매 거래 신고기한이 각각 이달 말과 다음 달 말까지여서다.

지역별로는 주로 강남권 다음으로 가격이 높은 준상급지들에서 거래량이 증가했다.

동작구는 지난해 하반기 622건에서 올해 상반기 796건으로 거래량이 28% 늘었다. 마포구에서는 698건에서 880건으로 26.1%, 성동구에서는 793건에서 967건으로 21.9% 증가했다.

상반기 거래 건수로는 송파구가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많았다. 지난해 하반기(1173건)보다 16.8% 증가한 1370건이 거래됐다. 9500가구가 넘는 가락동 헬리오시티를 비롯해 잠실 엘스·리센츠·트리지움 등 대단지 아파트에 실수요자들이 몰려 거래량 증가를 이끌었다.

은평구(18.9%), 동대문구(16.0%), 영등포구(14.3%) 등에서도 거래량 증가가 눈에 띄었다.

특히 2분기 들어 거래량 증가세가 뚜렷하다. 4월 들어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3% 후반대까지 떨어졌고, 전셋값 상승세가 1년 이상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공사비 상승과 내년 아파트 입주 물량 감소로 아파트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불안감 등으로 매수세가 커졌다는 분석이다.

반면 중저가·중소형 아파트가 많은 강북권은 거래량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줄었다. 강북구는 지난해 하반기 459건보다 38.8% 줄어든 290건이 거래됐다. 노원구는 지난해 하반기(1328건)과 비슷한 1329건, 도봉구는 521건에서 545건으로 소폭 증가했다.

준상급지 거래 증가로 2022년 하반기 66.7%에 달했던 9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지난해 하반기 52.2%에서 올해 상반기에는 49.3%로 떨어졌다. 반면 9억∼15억원 거래 비중은 지난해 하반기 29.3%에서 올해 상반기에는 32.1%로 증가했다.

거래량이 늘면서 실거래가도 오르고 있다. 상반기에 거래된 서울 아파트의 실거래 최고가를 아파트값이 역대 최고로 높았던 2021년 하반기의 동일 단지·동일 주택형의 최고가와 비교한 결과, 고점 대비 88%까지 실거래가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용산구의 상반기 거래가격은 2021년 하반기의 102%에 달해 역대 최고가 수준을 넘어섰다. 서초구의 경우 고점 대비 97.4%, 강남구 96.8%를 기록하는 등 고가주택 밀집지역의 가격 회복률이 높았다.

종로구(95.6%), 성동구(90.4%), 마포구(90.4%) 등 도심 인기지역의 고점 대비 가격 회복률도 90%를 넘어섰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지방 아파트값은 하락하는 데 비해 서울 아파트, 그중에서도 준상급지의 매수세와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모습”이라며 “대세 상승으로 보긴 이르지만 서울 아파트 상승세가 지속되면 수도권이나 지방 등지로 오름세가 확산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박지윤 기자(jypark@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