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G7 정상회의, 북ㆍ중ㆍ러 군사협력 경고...파리 올림픽 휴전 만장일치 지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동 성명서 강도 높게 비판
러 동결자산 500억 달러, 우크라에 쓰기로
우크라이나 평화회의, 미ㆍ중ㆍ러 정상 불참에 기대 줄어


이투데이

주요 7개국(G7) 정상들과 유럽연합(EU) 대표단이 13일(현지시간) 스카이다이빙 시연을 보고 있다. 보르고 에냐치아(이탈리아)/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탈리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이 북한과 중국, 러시아의 군사적 협력 강화를 공개적으로 경고했다. 이들은 파리 올림픽 기간 우크라이나 전쟁을 휴전하자는데 만장일치로 지지하는 동시에 북한과 중국이 러시아의 전쟁을 지원하는 것을 강하게 규탄했다.

15일(현지시간) 교도통신에 따르면 G7 정상은 공동 성명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한 탄도 미사일 수출을 비롯해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적 협력이 늘고 있다”며 “이를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러시아에 대한 중국의 지원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중국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격을 멈추고 모스크바로의 이중용도 물품 이전을 중단하도록 압력을 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G7은 유럽과 미국에서 동결된 러시아 자산에서 발생한 500억 달러(약 69조 원)를 해제해 우크라이나를 위해 사용하는 계획에 서명했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우리가 러시아를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상기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투데이

주요 7개국(G7)과 우크라이나, 인도, 튀르키예 등 초청국 정상들, 프란치스코 교황(맨앞 왼쪽에서 여섯 번째)이 1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풀리아주의 보르고 에냐치아 리조트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두 번째 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G7 정상회의에 사상 처음으로 참석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인공지능(AI) 위험성을 경고하며 평화적 사용을 촉구했다. 보르고 에냐치아(이탈리아)/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내달 열리는 파리 올림픽 기간 휴전하는 것에 대해선 만장일치로 지지했다. G7은 “모든 국가가 개별적으로나 집단으로 올림픽 기간 휴전할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이후 G7 정상회의 의장을 맡은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프랑스의 요청이었고 만장일치로 (성명에) 포함됐다”고 말했다.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4월 “우크라이나와 수단, 중동 등지에서 벌어지는 전쟁을 올림픽 기간 멈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에는 중국을 찾아 시진핑 국가주석과 마주한 자리에서 다시 한번 올림픽 휴전을 강조했다. 당시 시 주석도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올림픽 기간 전 세계의 휴전을 요청한다”고 화답했다.

그러나 이후 러시아는 휴전이 우크라이나를 재무장할 기회를 제공한다며 반발했고 우크라이나 역시 러시아에 유리한 일이라며 휴전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러던 중 푸틴 대통령은 이번 주 돌연 휴전 조건으로 자국 점령지에서 우크라이나의 철수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포기를 내세웠다. 이에 대해 멜로니 총리는 “푸틴 대통령의 휴전 제안은 ‘프로파간다(선전)’”라며 일축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우크라이나 대통령 역시 “아돌프 히틀러 메시지와 똑같다”고 비난했다.

이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G7 정상회의에 이어 스위스에서 이날부터 양일간 우크라이나 평화회의가 개최했다. 57개국에서 정상급 인사가 참석했지만, 미국, 러시아, 중국 정상이 참석하지 않으면서 이미 이번 회의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다.

AP통신은 “수십 명의 세계 정상들이 스위스에 모여 우크라이나에 평화를 가져올 방법을 논의하지만, 러시아의 부재로 인해 진정한 돌파구에 대한 희망은 사라졌다”며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모든 점령지에서 떠날 것을 요구하고 있고 러시아는 이미 우크라이나 남부와 동부에 대규모 공격을 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투데이/고대영 기자 (kodae0@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