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17일부터 서울의대 교수 529명 휴진…수술장 가동률 33% 예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대병원 교수 절반 이상이 17일부터 휴진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수술장 가동률은 현재의 반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16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는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강남센터 교수들의 휴진 참여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세계일보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에 반발해 17일부터 집단 휴진에 돌입한다. 사진은 16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의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사 결과 전체 교수(967명) 중 529명(54.7%)이 17∼22일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일정 연기 조치를 실시했다.

수술장 가동률은 기존 62.7%에서 33.5%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조사에 참여한 임상과 20개 모두 휴진에 참여할 예정이다.

휴진에 참여하지 않고 휴진을 지지하는 교수도 많았다. 전체 교수의 90.3%인 873명이 의료계에 대한 존중과 올바른 의료정책 수립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제출하는 등 휴진 지지 의사를 밝혔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진료를 전면 중단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환자들의 정규 외래 진료와 정규 수술 중단하는 것”이라며 “휴진 기간에도 진료가 꼭 필요한 중증·희귀질환자 진료를 하기 때문에 실제 진료 감소는 40% 정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휴진으로 인한 진료 예약 변경은 교수가 자체적으로 또는 비대위의 지원을 통해 환자에게 알리고 있다”며 “현재까지 비대위가 접수한 모든 지원 요청 건에 대한 예약 변경과 환자 알림 절차를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세계일보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환자와 보호자등 방문객들이 오가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서울의대 비대위는 정부가 전공의에게 내린 행정처분 절차를 완전히 취소하지 않으면 오는 17일부터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 부서를 제외한 모든 진료과가 무기한 전체 휴진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에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은 “무기한 휴진은 우리병원을 믿고 다니는 환자들의 불편을 넘어서서 안전에 상당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집단 휴진은 허가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강희경 서울의대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대병원 교수와 서울대병원장에게 메시지를 보내 “이번 전면 휴진은 정책결정자들을 향한 외침이지 환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 목적은 아니다”라며 “교수의 판단에 따라 가능한 환자의 진료 일정을 조절한 경우 휴진에 참여한 것으로 판단하겠다”고 설명했따.

또 “서울대병원에서만 진료가 가능한 중증·희귀 환자의 경우 진료 일정 조정으로 환자에게 피해가 되지 않도록 판단해 달라”며 “휴진 기간 중증, 응급, 희귀질환자들의 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신경 써 달라”고 요청했다.

세계일보

서울의대·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강희경 위원장.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김 병원장에게 “90%가 넘는 교수가 휴진에 찬성한다면 과연 국민이 서울대학교병원 교수라는 자들이 국가중앙병원, 대표적인 공공병원의 교수로서 자격이 있는 자들인가 의심할 것이라는 원장님의 우려에 대해 십분 공감한다”면서도 “참여율이 이렇게 높은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전체 휴진’이 밖에서 생각하는 것과 다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 당장은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못마땅하고 불편하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교수들이 주장하는 것은 우리나라 의료를 바로 세우려는 것임을 국민도 결국 이해해주시리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휴진 시작일인 17일 ‘전문가 집단의 죽음’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