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日언론 “사도광산 조선인 강제징용, 과거 지자체도 인정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일본 사도광산 내 터널. 2022.4.7 서경덕 교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니가타현 사도(佐渡) 광산이 과거 해당 지방자치단체도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을 인정했다는 지적이 현지에서 제기됐다.

아사히신문은 15일 ‘사도 광산 PR, 사실은 어디까지’라는 칼럼에서 “1988년에 니가타현이 펴낸 ‘니가타현사(史)’는 일찍이 조선인이 강제 연행돼 사도에서 일했다고 쓰고 있다”고 전했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니가타현이 1988년 펴낸 ‘니가타현사’에는 “1939년에 시작된 노무 동원 계획은 모집, 관(官) 알선, 징용으로 바뀌었지만 조선인을 강제 연행했다는 사실에서는 같다”라는 기술이 있다. 사도 광산 측이 남긴 자료에 따르면 1940년 2월~1942년 3월 총 6차례에 걸쳐 조선인 1005명이 동원됐고, 그 전후로 끌려간 조선인도 많았다. 충남 지역에서 시작돼 경북과 전남 등 한반도 전역으로 넓어졌다.

사도 광산을 운영했던 미쓰비시 광업은 조선인에 대해 “노골적인 ‘열등 민족관’을 숨기려고도 하지 않았다” “고삐를 늦추지 않는 관리가 필요했다” “민족 차별적 임금에 불만을 품고 도망간 사람이 있었다” 등 당시 만연했던 차별적 기록도 남겼다.

마이니치신문도 16일 가와사키시 시민단체인 ‘재일코리아 생활문화자료관’이 공개한 사도 광산 조선인 노동자 사진을 보도했다. 해당 사진에는 충남 논산군(현 논산시) 출신 임태호 씨가 1940년 사도 광산으로 징용당해 노무자 합숙소에서 조선인 동료들과 함께한 모습이 담겼다.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직전에 사도에서 도망친 임 씨는 이후 재일교포로 살았고 1997년 세상을 떠났다.

시민단체 측은 사도에서 일한 조선인들이 계약 형식을 갖춘 ‘모집’ 형태로 광산에 왔지만 당시는 일본의 요청을 맘대로 거절할 수 없는 상황임을 고려해 ‘징용’이라는 표현을 썼다. 마이니치는 “임 씨를 비롯한 조선인 노동자와 가족들이 사도에서 고생한 역사를 없었던 일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며 아픈 역사를 정면으로 마주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사도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다음 달 21일(현지 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도쿄=이상훈 특파원 sanghu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