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동해 ‘심해 탐사 시추’ 착수비 120억 일단 확보부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경북 포항 영일만 일대에 최대 140억배럴 규모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사의 비토르 아브레우 대표가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과 관련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경북 포항 영일만 일대의 석유·가스 시추에 필요한 착수비 약 120억원을 우선 확보했다. 내년부터 연간 최소 1천억원씩 들어갈 시추 자금을 정부가 확보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들 말을 종합하면 산업부와 한국석유공사는 영일만 일대 첫 시추 탐사를 위한 착수금 약 120억원을 확보했다. 올해 산업부 유전개발 출자 예산 481억원 중 약 60억원, 석유공사 자체 재원 약 60억원이 각각 투입된다. 애초 산업부는 자원개발 융자 예산(올해 총 398억원) 투입도 검토했으나, 융자 예산은 시추가 본격화하는 내년부터 활용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시추 탐사 착수금 약 120억원에 대해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라며 “큰 문제 없이 착수금이 확보될 것”이라고 말했다. 착수금은 시추 작업을 할 노르웨이 유전개발업체 ‘시드릴’사에 줄 계약금 등에 쓰인다.



시추가 본격화하는 내년부터 꾸준히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나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착수금은 국회가 지난해 말 동의해준 올해 예산안 내에서 확보한 것으로, 내년 시추 예산부터는 새롭게 국회 동의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석유·가스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구멍을 뚫는 시추 탐사에는 한 곳당 1천억원 이상의 예산이 든다. 정부는 올해 12월부터 4개월간 영일만 일대 7개 유망구조(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구역) 중 한 곳을 골라 첫 시추 탐사에 나설 방침이며, 향후 5년간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어본다는 계획이다.



야당은 시추 예산 증액에 반대하고 있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11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시추 작업에 천문학적 자금이 들어간다는데,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 분석을 수행한 액트지오사에 대한) 의혹이 까도 까도 끝이 없다”며 “진상규명 없이는 시추 예산을 늘려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예산 확보가 여의치 않을 경우를 염두에 두고 국제 투자자금 유치도 추진 중이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오직 한겨레에서 볼 수 있는 보석같은 기사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