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두 번 실패했는데 대표?"…한동훈 저격수 된 김기현의 '반격' [who&why]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해 9월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가 서울 강서구 곰달래 문화복지센터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가 7·23전당대회 출마가 유력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연일 비판하고 있다.

13일 페이스북에 이렇게 쓰면서 포문을 열었다.

“실패한 리더십이 아니라 당을 살리고 민생을 살릴 수 있는 새롭고 참신한 리더십을 세워야 한다. 지난 4·10총선에서 이·조(이재명·조국)심판으로 패배했는데도 또다시 그 논쟁에 매몰되어선 안 된다. 지구당 부활 같은 정치권 밥그릇 챙기기가 아니라 민생 문제를 해결하는 데 당력을 모아야 한다.”

이·조 심판론은 총선 때 한 전 위원장이 내건 대표적인 캠페인이다. 지구당 부활은 총선 패배 후 한 전 위원장이 내놓은 몇 안 되는 정치 관련 화두다.

김 전 대표는 별개로 한 전 위원장 측이 ‘출마도 정치적 책임’이라는 논리를 펴자 기자들에게 “그건 궤변”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16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새 리더십을 세우지 않으면 국민 중 누가 국민의힘이 변했다고 하겠냐”며 “직접 출마할 생각은 없다. 대표를 지낸 사람으로서 당의 미래에 대한 걱정이 깊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지난 1월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왼쪽)이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4선 이상 의원들과 오찬을 갖기에 앞서 김기현 전 대표와 인사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 전 대표가 한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를 연일 비판하는 것과 관련해 여권에선 크게 두 갈래의 해석을 내놓는다. 첫 번째는 당 주류인 친윤계와의 거리를 좁히려 한다는 것이다. 여권 인사에 따르면 김 전 대표는 최근 사석에서 “한 전 위원장은 두 번의 실패를 했다”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하나는 법무부 장관으로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법적 문제를 말끔하게 드러내지 못한 점이고, 또 다른 하나는 총선에서 패배한 점이다. 어떻게 그런 분을 우리 당의 세 번째 대표로 모시겠느냐.”

범(汎)친윤계에 속하는 김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윤석열 대통령과 당 운영 견해차를 빚은 뒤 대표직을 물러났고, 친윤계 주류와도 거리가 생겼다. 하지만 김 전 대표가 한 전 위원장을 본격적으로 견제하면서 친윤계가 구상하는 ‘친한계 대 반(反)한계’의 구도가 뚜렷해졌고, 자연스레 김 전 대표도 친윤계와 정서적 거리를 좁힌 모양새다.

친윤계도 김 전 대표 역할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김 전 대표는 김석기·박성민·강민국 의원 등 ‘김기현 지도부’ 출신과 모임을 이어갈뿐 만 아니라, 주호영·권영세·김희정·권영진 의원 등 옛 소장파 모임 출신들과 18일 조찬회동도 한다. 여권 관계자는 “친윤계 입장에선 김 전 대표를 고리로 반한계를 모을 수 있다고 봤을 것”이라며 “김 전 대표도 윤 대통령과의 관계 개선을 원할 테니, 김 전 대표와 친윤계의 이해관계가 일치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중앙일보

지난해 11월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왼쪽)가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찰스 3세 영국 국왕의 국빈 초청으로 영국 런던으로 출국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인사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하나는 “한 전 위원장을 견제하는 것이 정치적 명예회복의 기회라고 봤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13일 사퇴했는데, 한 전 위원장은 불과 그 8일만인 21일 비대위원장을 수락했다. 당시 정치권에선 “한 전 위원장을 위해 김 전 대표를 물러나게 한 것 아니냐”는 말이 나왔다. 한 전 위원장은 비대위원장 취임 연설에서 “국민의힘이 잘해왔는데도 억울하게 민주당에 뒤지는 게 아니다. 바로바로 바꾸자”며 김기현 체제를 비판하는 듯한 말을 했다.

한 전 위원장이 지난 1월 영입 인재로 발표한 삼성전자 사장 출신 고동진 의원, TV조선 앵커 출신 신동욱 의원은 모두 김 전 대표가 지난해 대표를 지낼 때 영입한 뒤 발표만 남겨뒀던 인사였다고 한다. 한 전 위원장이 총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메가시티 정책도 김 전 대표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서울 편입론을 계승한 사안이다. 그런데도 한 전 위원장은 김 전 대표 관련 언급은 거의 하지 않았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한 전 위원장의 행동은 김 전 대표 입장에서는 자신을 부정하는 것처럼 보였을 것”이라며 “김 전 대표에겐 지금이 반격의 시간 아니겠냐”고 말했다.

김효성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