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中이커머스 빅3, 5년간 매년 41% 성장…"韓시장도 빠르게 장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경협, 전자상거래 시장현황 분석…中플랫폼, 글로벌 2∼4위 싹쓸이

"유통 정책 개선·소비자 보호강화 필요"

연합뉴스

한경협 표지석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한상용 기자 = 글로벌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시장이 중국 기업을 중심으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한국 유통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면서 국내 유통산업 정책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7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공개한 '최근 5년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이 시장 규모는 2018년 2조9천억달러에서 지난해 5조8천억 달러로 5년 만에 2배 수준으로 성장했다.

글로벌 연평균 성장률은 14.6%로, 이는 전체 소매업 성장률 4.4%와 비교하면 3.3 배에 해당할 정도의 급성장이다.

무엇보다 징동닷컴과 알리바바, 테무 모기업 핀둬둬 등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빅3'의 최근 5년간 매출액 연평균 성장률은 41.0%로 집계됐다. 세계 전자상거래 연평균 성장률보다 2.8배나 높은 것이다.

연합뉴스

2018∼2023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규모
[한경협 제공. 자료 eMarketer. 재판매 및 DB 제공]




글로벌 전자상거래 회사들의 매출 순위를 살펴보면 1위는 미국 기업 아마존이 차지했다.

이어 2위 징동닷컴(중국), 3위 알리바바(중국), 4위 핀둬둬(중국), 5위 쿠팡(한국) 순이다. 세계 전자상거래 5대 기업 중 3개를 중국이 싹쓸이한 셈이다.

중국 플랫폼 확대로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도 큰 변화에 직면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해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역대 최대인 228조9천억원으로, 중국과 미국, 영국, 일본에 이어 5위에 오를 정도로 커졌다.

지난해 한국의 중국 플랫폼을 통한 구매액은 전년 대비 무려 121.2% 증가한 3조3천억원으로, 미국 플랫폼을 거친 구매액 1조9천억원을 크게 웃돌았다.

미국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4년 이후 한국의 최대 전자상거래 구매국 자리를 유지해오다 작년에 처음으로 중국에 밀려났다.

중국 플랫폼의 빠른 성장세 속에 한국의 해외 전자상거래도 2021년 기점으로 구매액이 판매액을 넘어서며 적자 전환됐다. 지난해에는 그 적자 폭이 5조1천억원에 달했다.

연합뉴스

한국 해외 전자상거래 추이
[한경협 제공. 통계청 자료. 재판매 및 DB 금지]




또 한경협이 국내에서 활동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분석한 결과, 중국 플랫폼들은 작년 초부터 한국 시장을 빠르게 잠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간 사용자 수 기준으로 지난해 1월 플랫폼 순위는 1위 쿠팡, 2위 11번가, 3위 G마켓, 4위 티몬이었다. 5위는 2018년 국내 시장에 진입한 알리익스프레스로, 1∼4위에 한국 기업들이 포진했었다.

하지만 1년 반도 채 지나지 않아 이러한 플랫폼 순위는 크게 요동쳤다.

올해 5월 기준 쿠팡은 1위 자리를 유지했지만, 2∼5위는 차례로 알리익스프레스, 11번가, 테무, G마켓이었다. 중국 기업이 2위와 4위를 꿰찬 것으로, 테무는 작년 7월 국내 진출 후 1년도 안 돼 5위권에 진입했다.

한경협은 중국 플랫폼이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는 상황에서 규제 중심의 유통 정책 개선과 소비자 보호 강화, 국내 중소 유통·제조사 지원 등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국내 유통 기업의 활동을 제한해 역차별 논란이 있는 규제 중심의 유통산업발전법을 경쟁력 강화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며 "대형 마트와 준대규모 점포는 유통산업발전법에서 공휴일 의무휴업과 영업시간을 제한받고 있고 온라인 구매 배송도 동일하게 규제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몸에 해로운 식·의약품과 가짜 상품, 청소년 유해 매체, 개인정보 침해와 같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국 플랫폼의 소비자 보호 의무 이행현황 점검을 강화해야 하고 정보 유출 우려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gogo213@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