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회사채까지 쓸어 담는 개미…4.7조 큰손 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체 22%…은행보다 많아
2~3년물 AA 등급 성과 ↑
3高서 부실채권 전환 주의


이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개인투자자들의 채권 투자 열기가 뜨거운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내세우는 회사채에 손을 뻗는 개인도 늘고 있다.

1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연초 이후 15일까지 개인은 회사채를 4조7132억 원어치 순매수했다. 이 기간 전체 개인 순매수 규모(21조3907억 원)의 22%에 달하는 규모다. 국채(6조9674억 원), 기타금융채(5조1224억 원) 다음으로 회사채를 많이 샀다.

이로써 개인은 연초 이후 회사채를 가장 큰 규모로 흡수한 투자자에 올랐다. 기타법인(4조3396억 원), 은행(3조6703억 원), 종금·상호(2조3728억 원), 공모·사모 자산운용사(1조1777억 원) 등 순으로 개인의 뒤를 이었다.

높은 회사채 금리에 예·적금 등의 유인이 적어지며 회사채 투자가 활성화한 것으로 보인다. 14일 무보증 3년 회사채 금리는 AA- 등급 3.694%, BBB- 등급 9.819%로 각각 마감했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올해 1~5월 월별 채권 투자 성과는 2~3년물 AA 등급 회사채가 1.8%로, 3개월~1년물 국고채(1.4%)와 2~3년물 국고채(0.8%)를 모두 앞섰다.

미국, 일본 등 해외 증시와 달리 부진한 국내 증시에 주식 투자 매력도가 떨어진 것도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에 더해 고금리 환경에서 채권을 저가 매수해 미국 기준금리가 인하하면 차익 실현을 할 수 있다는 대목에 주목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캐나다 중앙은행, 유럽중앙은행(ECB) 등은 금리를 내렸고 미국도 연내 1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회사채는 투자 위험성이 큰 상품으로 분류되는 만큼, 부실채권 전환 여부에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고금리뿐 아니라 고물가, 고부채 등 ‘3고(高)’ 국면이 함께 펼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한 지난해 12월 28일 태영건설 신용등급은 A-였다. 태영건설 신용등급이 CCC 등급으로 하향된 것은 워크아웃 소식이 알려진 후였다.

김은기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은 “1분기에는 만기 3년 이하의 회사채가 인기를 얻었지만, 3분기 이후에는 만기 5년 이상의 장기 회사채를 향한 관심이 커질 전망”이라며 “장기 회사채를 투자할 경우, 높은 신용도가 바탕이 돼야 해서 A 등급 이하 비우량 회사채보다는 AA 등급 이상 우량 장기 회사채 위주로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투데이/윤혜원 기자 (hwyo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