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대출한도 줄기 전에"…은행 주담대, 급증세 지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출금리 내려가고 집값 다시 상승하며 수요 몰려

내달부터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변동형 한도 '뚝'

뉴시스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서울 아파트값이 11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지난 6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가격동향조사(3일 기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일주일 전보다 0.09%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도 55주 연속 상승하며 역대 세 번째로 긴 상승 기간 기록을 세웠다. 2분기 들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 7천450건 중 9억 원 초과 거래는 약 52%를 차지했다. 사진은 7일 서울의 아파트 단지 모습. 2024.06.07. bjk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최근 들어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점차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대출금리가 내려가고 집값은 서울을 중심으로 다시 상승하면서 수요가 몰리는 모습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546조306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529조8922억원에서 16조4138억원 급증한 규모다. 월간 증가 폭은 4월 4조3433억원에 이어 5월 5조3157억원으로 확대됐다. 이달 들어서도 2주간 2조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주담대 급증세의 배경으로는 대출 금리 하락과 함께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택 거래 회복과 집값 상승이 지목된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공시된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는 14일 평균 3.538%로 집계됐다. 한 달 전 3.830%에서 0.292%포인트 떨어진 수준이다.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혼합형)는 지난 13일 기준 3.11~5.76%를 형성했다. 한 달 전 3.34~5.77%에서 하단이 0.23%포인트 떨어졌다. 이 기간 주담대 변동금리(신규 코픽스)는 3.85~6.840%에서 3.72~6.787%로 하단이 0.13%포인트, 상단이 0.053%포인트 각각 내려갔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12주 연속 오르고 상승폭도 가팔라지고 있다. 지난 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로 전주 0.09%에서 확대됐다.

KB부동산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시장동향을 보면 지난 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6% 올랐다. 최근 4주간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추이를 살펴보면 5월20일 0.01%, 5월27일 0.02%, 6월3일 0.04%, 6월10일 0.06%로 상승폭이 점차 커지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인하 기대감이 시장에 선반영되면서 주담대 하단이 3% 초반 수준까지 내려온 상태"라며 "여기에 주택 거래가 살아나며 집값이 다시 올라가면서 현재 수준의 금리는 감내할 만하다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달부터는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가 시행돼 대출 한도가 줄어들게 된다. 시중은행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연소득 5000만원으로 다른 대출 없이 주담대를 40년 만기 원리금 균등 상환할 때, DSR 40% 제한에서 기존 4% 금리를 적용하면 3억9800만원을 빌릴 수 있었다.

지난 2월26일부터 실제 금리에 향후 잠재적 인상 폭을 더한 1단계 스트레스 DSR이 적용되면서 대출 금리와 한도는 ▲변동형 4.38%, 3억7700만원 ▲혼합형 4.23%, 3억8500만원 ▲주기형 4.11%, 3억9200만원 수준이 됐다.

7월부터는 2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된다. 이후에는 ▲변동형 4.75%, 3억5700만원 ▲혼합형 4.45%, 3억7300만원 ▲주기형 4.23%, 3억8500만원 수준으로 적용 금리가 오르고 대출 한도가 줄어들 전망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roma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