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만44세' 80년생 남성 10명 중 3명이 미혼…'40대 코앞' 85년생 46.5%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보사연,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성비' 연구

만 44세 1980년생 남성도 3명 중 1명 미혼

"미혼으로 남는 경향, 여성보다 남성 강해"

미혼자 모두 결혼해도 남성 미혼 인구 남아

"2000년대 중반 이후 남성 결혼 불리 구조"

뉴시스

[서울=뉴시스] 백동현 기자 = 지난 2022년 5월27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카페에서 예비 신부가 상담받은 견적서들을 살펴보면서 예식장 별 견적을 비교하고 있는 모습. 2022.05.27. livertrent@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40대를 앞둔 1985년생 남성 절반, 30대 중반에 접어든 1990년생 남성 10명 중 7명 이상이 미혼인 것으로 나타났다. 만 44세인 1980년생도 10명 중 3명이 미혼으로 조사됐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이슈앤포커스' 제449호에 실린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성비'에 따르면 연구진은 지난 2020년 시점에서 1970~2020년 코호트의 미혼 인구, 미혼율, 성비를 산출했다.

코호트별 미혼율을 보면 만 39세인 1985년생 남성의 미혼율은 46.5%, 여성은 29.1%다. 만 34세인 1990년생의 경우 남성 79.7%, 여성 61.3%의 미혼율을 보였다.

만 29세인 1995년생의 경우 남성 98.5%, 여성 93.3%로 모두 미혼율이 90%를 넘었고 만 24세인 2000년생의 경우 남녀 모두 미혼율 100%였다.

만 44세인 1980년생 남성 중에서도 10명 중 3명인 30.4%가 미혼이었고 여성 미혼율은 17.3%다. 만 49세인 1975년생은 남성 23.6%, 여성 11.6%의 미혼율을 보였고 만 54세인 1970년생은 남성 16.4%, 여성 7.2%의 미혼율을 나타냈다.

여자 100명당 남자 100명의 수를 나타내는 성비의 경우 남아선호사상 등의 영향으로 1970년생의 경우 229.8명, 1975년생은 207.2명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1990년생 144.6명, 2000년생 107.5명으로 점차 낮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미혼으로 남게 되는 경향이 여성보다 남성에게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결혼을 하는 평균 연령 차가 3세임을 고려해 미혼 인구를 대상으로 가상 매칭을 했는데, 1985~1990년생은 남성보다 여성 미혼자 수가 더 많았지만 1990년생 이후부터는 남성이 더 많고, 미혼 남성 증가 속도도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전국적으로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19.6% 많은데, 서울의 경우 성비 차이가 거의 없지만 경북과 경남, 충북은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30% 이상 많았고 강원, 충남, 전북, 전남 등은 이 수치가 25% 이상이었다.

연구진은 "현재의 결혼 연령 차이를 감안해 일대일 매칭이 모두 이뤄진다 하더라도 남성 미혼 인구가 매우 많이 남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2000년대 중반 이후 남성 인구의 10% 이상이 결혼하기에 불리한 구조가 된 것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owest@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