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기레기 발작·재판장 제척"…민주, 도 넘은 '언론·사법부' 비판 공세 눈총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재명 "언론 애완견" 비판 일자 양문석 "기레기 발작" 엄호

강성 지지층은 이 대표 사건 맡은 '판사 탄핵' 서명운동 돌입

뉴시스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4차 중앙위원회의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2024.06.17. xconfind@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김지은 조재완 신재현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쌍방울그룹 불법 대북송금' 사건으로 추가 기소되자 민주당이 검찰과 사법부는 물론 언론을 향해서도 거친 언사를 퍼부으며 이 대표 엄호에 나서고 있다. 이 대표 사법 리스크 방탄이 도를 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 지도부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도 검찰과 사법부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갔다.

이 대표는 대북송금 의혹과 관련해 "증거를 다 떠나 삼척동자 누구나 알 수 있는, 상식에 어긋나는 주장을 대한민국 검찰이 하고 있다"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그는 "북한에 가겠다고 돈 수십억을 대신 내달라고 하면 이게 뇌물죄 중대범죄인데 그런 걸 이화영 전 경기 평화부지사가 요구했다는 것이냐"며 "이 전 부지사가 정신이 나갔거나 바보거나 그런 사람이냐"고 따져 물었다.

이어 "북한에 현금을 몇십억씩 주면 유엔(UN) 제재 위반이다. 주면 안된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있나"라며 "돈을 빼돌려 해외로 내보내 북한에 주면 국가보안법 위반이고 외환관리법 위반이며 재산 해외도피로 처벌된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있나"라고 날을 세웠다.

또 "김성태 전 회장은 북한에 합의서를 받아 그것 때문에 주가가 올라 엄청난 이익을 봤다"며 "평양에 가서 공개 합의서를 쓰려고 그렇게 노력해 북한과 교섭했는데 거기엔 아무 대가도, 10원도 안 줬고 오로지 아무 관계가 없는 경기도만을 위해 100억원씩이나 몰래 처벌을 감수하며 갖다줬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삼척동자도 알 일을 이 전 부지사는 모르고 북한에 약속했으며, 북한은 10월에 그 약속을 했는데 11월에 왜 이행을 안 하냐고 화내면서 쌍방울그룹에 대신 내달라고 했다(는 게 사법부 판단이다). 북한도 바보냐"고 말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화영 전 지사 재판을 맡은 판사가 이 대표 재판을 맡게 된 것을 두고 "이미 판결로 선입견 편견 사심이 개입되었을지도 모른 재판장은 관련 재판장에서 회피 제척돼야 하지 않나"라며 가세했다.

정 최고위원은 "이미 유죄를 때린 판사가 이와 유사한 사건에서 앞서 판결한 것과 다른 무죄를 때릴 수 있겠나"라며 "판사도 한계와 오류를 갖고 있는 사람이지 신이 아니다. 이 대표 보복기소 재판부 쇼핑이란 비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헌법과 법률이 정한 사심 없고 선입견 없는 공정한 재판절차 국민의 기본권이며 보장된 헌법정신, 수사와 기소의 분리, 공소장 일본주의정신이 수사에서, 재판 과정에서, 재판 결과까지 온전히 구현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영교 최고위원은 "대통령 선거하면서 쌍방울이 이 대표 변호사들의 변호사비를 대납했다고 하는 게 이 사건의 시작 아니냐"며 "딱 까보니 거기 이재명 변호사는 없고 검찰 관계자들만 거기서 쌍방울 돈을 빼먹고 있었다. 그리고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과 가까운 사람들이 포진해 있어 부랴부랴 덮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 최고위원은 "이렇게 억울하게 야당 대표를 검찰이 조작하고 옭아매도 되냐"며 "윤 정권이 이렇게 해서 무슨 천벌을 받으려고 (이러나)"라고 비판했다.

일부 언론을 '검찰의 애완견'으로 빗댄 이 대표의 발언을 두고도 동조 주장이 쏟아졌다.

이해식 수석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법조계 기자들을 중심으로 쌍방울 사건으로 당대표를 입건하거나 기소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며 "문제점을 지적하진 않고 그냥 받아쓰기하는 행태에 대해 공식적 용어를 인용해서 항변한 것"이라고 말했다.

YTN 기자 출신으로 원내대변인인 노종면 의원도 전날 "애완견은 감시견(워치독) 반대편 언론일 뿐"이라며 "언론 비하, 망언 따위 반응이 나올 일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노 의원은 페이스북에 "권력이 주문한 대로 받아쓰고 권력에 유리하게 프레임을 만들어주는 언론을 학계에서도 언론에서도 애완견(랩독·lapdog)이라 부른다"고 했다.

이어 "이 대표는 이미 감시견 역할을 하는 보도 사례를 전제하며 그렇지 않은 언론을 향해 '왜'냐고 물었다"면서 "이 대표가 모든 언론을 싸잡아 비하한 듯 왜곡하고 과장하는 국민의힘, 이건 언론에 포진한 자신들의 애완견을 향해 짖으라고 종을 흔드는 격"이라고 했다.

강성 친명계는 '기레기(기자와 쓰레기의 합성어) 등 원색적인 표현을 쓰며 논란을 키웠다.

양문석 의원은 전날 유튜브 채널 게시판에 "(이 대표가) 보통명사가 된 '기레기'라 말하지 왜 격조 높게 '애완견'이라고 해서 비난을 받는지 모르겠다"고 적었다.

양 의원은 " “검찰청의 일부 도둑놈들이 불러주면 단지 받아쓰기하는 직원들이 무슨 애완견이냐. 그냥 기레기”라고 했다.

검찰의 애완견'이라는 표현은 애완견에 대한 모독"이라며 "앞으로 그냥 기레기라고 하면 좋을 것"고 비아냥댔다. 또 "애완견이라고 높여줘도 똥오줌 못 가리고 그냥 발작 증세를 일으킨다"고도 했다.

지도부의 강경 행보에 보조를 맞춰 강성 지지층은 이 대표 사건 심리를 맡은 판사를 탄핵해야 한다며 서명 운동에 들어갔다. 이 대표 팬카페 회원과 친야 성향 유튜버들은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1심 재판장을 맡은 신진우 부장판사가 이 대표 대북송금 연루 의혹 사건 재판도 맡자 신 판사에 대한 탄핵 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15일까지 탄핵 서명에 3만명 넘게 참여했다"며 "국회가 국민이 준 권한으로 신 부장판사 탄핵안을 발의하고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친명계의 거친 발언과 전방위적 비판 공세에 당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 중진 의원은 "일부 언론의 검찰 보도 행태는 문제가 있지만 제1야당 대표의 표현으로는 부적절하다"며 "강경파들이 이 대표를 두둔하며 논란에 기름을 붓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당 관계자는 "당 전체가 이 대표 '방탄'에 나서는 모양새로 비칠 경우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며 "강경 행보에 따른 중도층 이탈 가능성을 의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kje1321@newsis.com, wander@newsis.com, agai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