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우원식 “6월 임시회 국회법대로 일정 진행”…원구성 이번 주 ‘분수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집권여당은 국정 책임져야…소수 여당이라고 책임 더는 것 아냐”

“국무위원 국회 불출석은 직무유기”

쿠키뉴스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 본관 의장접견실에서 원구성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사진=임현범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6월 임시회 내 국회법이 정한 일정을 모두 소화하겠다고 예고했다. 다음 주가 6월 마지막 주인 만큼 여야의 원구성이 시한이 이번 주 내로 좁혀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우 의장은 17일 국회 본관 의장접견실에서 원구성 기자회견을 열고 “원구성을 마무리하고 22대 국회 개원을 국민께 보고 드려야 하지만 의무를 제대로 하지 못해 죄송하다”며 “국회를 대표해 직접 보고 드리는 게 도의라 생각해 자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회의장 주재로 여야 원내대표 간 깊은 접촉과 밀도 있는 대화를 진행했다”며 “합의에 이르지 못했지만 양당의 고심을 확인했다. 국민의 눈높이를 살필 때 1당이 11개, 2당이 7개 상임위를 맡는 게 합당하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우 의장은 더불어민주당의 상임위 독식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국회 개원이 늦어져 민생 문제 해결이 늦어지는 것도 국민의 권리침해가 우려되는 만큼 기간 내 원구성을 마무리 짓겠다는 입장이다.

그는 “민주당이 18개 상임위를 모두 맡는 것은 국민의힘을 지지한 국민의 권리를 침해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의석수를 봐도 (상임위 배분에)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 개원을 늦춰 국민 권리를 침해하는 것도 문제다. 민생이 절박한 상황에 의료대란까지 더해졌다”며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된 남북관계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국회를 빨리 열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쿠키뉴스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국회 본관 의장접견실에서 원구성 기자회견 모두발언을 마친 후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사진=임현범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 의장이 6월 임시회 중 교섭단체 대표연설과 대정부 질문을 마친다고 예고한 만큼 최종 협상은 이번 주중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 주가 6월 마지막 주인 만큼 오는 23일까지 원구성이 이뤄져야 국회법이 정한 일정을 지킬 수 있다.

그는 “6월 임시국회를 국회법에 따라 운영하려면 시간이 제한적이다. 결산심사와 인사청문회 등 예정된 국회 일정이 다가오고 있다”며 “여야에 빨리 결론을 내달라는 요청을 한다”고 촉구했다.

또 정부와 국민의힘에 대한 경고도 남겼다. 그는 “여당은 국정을 책임지는 정당으로 대통령제인 우리나라에서는 정부가 훨씬 크다”며 “여당이 소수라고 책임을 더는 게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회법에 따라 소집한 상임위에 국무위원이 출석하지 않는 것은 직무유기”라며 “원구성은 국회의 일이니 정부는 정부의 일을 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우 의장은 “정부가 책임 있게 나서도 산적한 현안의 무게가 무겁고 한 발짝도 나가기 어렵다”며 “국회의장으로서 빨리 개원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여야도 국민이 보기에 합당한 결론을 낼 수 있게 노력해달라”고 전했다.

원구성 모두발언이 끝난 후 우 의장은 취재진의 질문을 받았다. ‘여야의 협상 시한이 정해졌냐’는 질문에 “머지않은 시간에 결론을 내겠다”고 답했다.

우 의장은 국민의힘이 요구하는 원구성 원점 재검토와 민주당의 상임위 독식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야가 협의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말을 아꼈다.

아울러 ‘6월 마지막 주에 교섭단체 대표연설 등 일정을 진행하냐’는 물음에 “(국회의장) 당선인사에서도 얘기했지만 6월 12일이 국회법이 시작된 날로 기억되길 바란다는 얘기를 했다”며 “교섭단체 연설과 대정부질문은 국민의 권리기 때문에 국회법에 따라 하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