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밀려드는 주문에…미ㆍ유럽 방산업체, 냉전 이후 최대 규모 채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대 방산기업 올해 수만 명 고용 계획
러ㆍ우크라 침공 후 각국 국방비 지출↑


이투데이

미국 야키마 훈련센터에서 2011년 5월 23일 록히드마틴이 만든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이 가동되고 있다. 야키마/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방산업체들이 기록적인 주문량을 소화하기 위해 냉전 종식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는 미국과 영국의 20개 중대형 방위·항공우주 기업의 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올해 수만 명을 고용할 계획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록히드마틴, 노스럽그러먼, 제너럴다이내믹스 등 미국 최대 계약업체 중 3곳은 채워야 할 일자리가 6000개에 육박했다. 또 조사에 참여한 기업 10곳은 전체의 10%에 이르는 3만7000개의 일자리를 늘릴 예정이다.

유럽 항공우주방위산업협회(ASD)의 얀 피 사무국장은 “냉전 종식 이후 방산 주문량이 최근 짧은 시간 동안 가장 가파른 각도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러시아가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자 전 세계 각국 정부는 군사비 지출을 늘리고 있다. 또 수십 년간 저조했던 주문량이 갑자기 급증한 데다 디지털 기술 경쟁, 코로나19 이후의 인력난이 더해지며 채용이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고 FT는 설명했다. 아울러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함에 따라 ‘조용한 퇴사’를 선택하는 현상 등도 영향을 미쳤다.

직급은 신입사원부터 임원까지 넓으며, 엔지니어, 소프트웨어 개발자, 사이버보안 분석가, 용접공, 기계공 등의 수요가 많다.

이탈리아의 대표 항공·방위업체인 레오나르도의 최고인사책임자는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이전 분쟁 기간보다 훨씬 더 집중적으로 신규 채용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레오나르도는 영국 BAE 시스템즈, 일본 미쓰비시중공업과 함께 3개국 차세대 전투기 제작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레오나르도는 올해 말까지 6000명을 채용하고 2025년부터 2028년까지는 8000∼1만 명을 신규로, 특히 산업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뽑을 계획이다.

현재 325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유럽 대형 탄약 제조업체 남모는 “이런 상황을 이전에는 본 적이 없다”며 “2030년 말까지 회사 규모를 두 배로 키우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고 언급했다.

독일 최대 무기 생산업체인 라인메탈은 14일 수요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자동차 부품사 콘티넨탈에서 수백 명을 데려올 계획이라고 밝혔다.

프랑스 탈레스는 방위 부문에서 현재 직원 8만1000명의 약 11%인 9000명을 지난 3년간 채용했다고 밝혔다.

[이투데이/이진영 기자 (mint@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