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파국이다’ 의견 좁히지 못한 대한의사협회-정부, 전면 휴진 강행[SS이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협, 3가지 요구안 전달…정부, 무리한 강행에 유감

스포츠서울

대한의사협회와 정부의 의정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병원에서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피해자들이 속출하고 있어 불만의 목소리가 크다.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서울 | 표권향 기자]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가 의대 증원 재논의를 담은 3가지 요구안을 발표한 다음 날인 17일 서울대병원이 집단휴진에 돌입했다. 협회는 정부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18일 대학병원을 비롯해 동네 병의원까지 전면 휴진에 돌입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의협이 총궐기대회를 예고한 18일 전국 총 3만6371개 의료기관 중 1463곳(4.02%)이 휴진할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 대규모 단체행동은 2000년 의약분업 이후 처음이다. 이번 사태에서는 특정 직역이 아닌 전 직역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제기돼 한국 의료계에 큰 혼란이 생길 전망이다.

지난 16일 의협이 정부에게 제시한 요청사항 3가지는 △의대 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 의료 정책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보안 △정부의 일방적인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 즉각 소급 취소 및 사법 처리 위협 중단이다.

의협은 이 요구가 받아들여질 경우 18일 전면 휴진 보류에 대한 전 회원 투표를 17일 실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요구사항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18일 전국적 집단 휴진을 진행하고, 이후 무기한 휴진을 포함한 전면적 투쟁에 들어간다고 했다.

정부는 이날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 회의를 열고 국민의 의료 이용 불편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협회의 집단 진료 거부 결정 강행에 대한 유감을 표했다.

한덕수 중대본부장은 “복귀하는 전공의들에 대해서는 어떠한 불이익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헌법과 법률에 따른 조치를 아예 없던 일로 만들어달라는 요구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라고 입장을 표명했다.

의협과 정부가 서로 일방적이고 불합리한 요구라고 서로를 탓하고 있는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일부 맘·지역카페를 중심으로 휴진에 동참하는 동네 병의원을 대상으로 불매운동에 나서자는 여론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스포츠서울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등 단체 회원들이 지난 13일 대한의사협회 앞에서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작성자 A씨는 “환자를 상대로 의료파업한다면 의사 자격이 없는 것”이라며 “민심도 돌아선 것 같은데 이제 그만했으면 좋겠다”라고 비판했다.

한 대학병원 응급실에 실려 갔으나, 제대로 된 치료 없이 7시간 동안 방치 수준으로 의자에만 의지했던 B씨는 “병실은 있는데, 병상은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이것이 말이 되느냐”라고 호소했다.

원인제공자인 정부를 향한 불만도 크다. C씨는 “도대체 정부는 의료계 파업을 막기 위해 논의만 할 것이냐”며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이기는커녕 서로 헐뜯는 모습이 의료 농단 사태를 장기화 시키고 있다”라고 꼬집었다. gioia@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