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늘어나는 ‘수포자’, 고2 ‘기초학력 미달’ 17%, 2017년 이후 최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학교 영어에서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비율은 낮아짐”

“중·고등학교 국어, 영어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음”



고등학교 2학년 학생 6명 중 1명꼴로 수학 과목의 기초학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기초학력이 미달인 고2 학생 비율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표본 집단 평가로 전환된 2017년 이래 최고치를 찍은 것이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17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 평가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 성취 수준 현황과 변화 추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매년 실시되는 평가이다.

중3과 고2 전체 학생의 약 3%를 표본으로 추출해 국어, 수학, 영어 교과별 학업 성취 수준을 4수준(우수 학력), 3수준(보통 학력), 2수준(기초 학력), 1수준(기초학력 미달) 등 4단계로 진단한다.

지난해 9월 실시된 이번 평가에는 전국 476개교에서 2만4천706명의 중·고교생이 참여했다.

◆ 고2 수학 기초학력 미달, 4년 연속 증가세… 2017년 이후 최고

세계일보

2023년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중3의 기초미달 비율은 국어(9.1%), 수학(13.0%), 영어(6.0%)에서 모두 하락했다.

국어의 경우 2.2%포인트, 수학은 0.2%포인트, 영어는 2.8%포인트 각각 낮아졌다.

그러나 고2의 기초미달 비율은 국어(8.0→8.6%), 수학(15.0%→16.6%)에서 확대됐다.

특히 고2 수학 과목의 기초미달 비율은 2019년(9.0%)부터 2020년(13.5%), 2021년(14.2%), 2022년(15.0%)에 이어 지난해까지 4년째 상승세를 보인다.

수준 자체는 학업성취도 평가가 전수평가에서 표본 집단 평가로 전환된 2017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2 국어 과목의 기초미달 비율 역시 2018년(3.4%)부터 2019년(4.0%), 2020년(6.8%), 2021년(7.1%), 2022년(8.0%)에 이어 작년까지 5년 연속 커졌다. 수치 자체도 2017년 이후 최고 수준을 찍었다.

고2의 기초미달 비율은 영어에서만 9.3%에서 8.7%로 줄었다.

세계일보

2023년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보통 이상(3수준 이상) 비율은 중3의 경우 국어 과목에서 61.2%, 수학 49.0%, 영어 62.9%를 기록했다.

국어와 수학은 전년보다 2.2%포인트, 0.7%포인트 각각 하락했으나, 영어에서는 7%포인트 올랐다.

보통 이상의 학업성취를 보인 고2는 국어에서 52.1%, 수학 55.9%, 영어 70.4%로 나타났다.

국어는 1.9%포인트 하락했으나, 수학과 영어는 각각 0.7%포인트, 4.1%포인트 오른 수준이다.

다만 교육부는 전수 평가가 아닌 표본집단 평가인 터라 중3 영어의 보통 이상 비율 확대, 중3 영어 기초미달 하락 외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변화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교육부 관계자는 "(표집평가 특성상) 오차 구간이 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을 제외하면) 몇 년 전 자료와 비교하기에는 차이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중3 영어의 경우 "코로나19에 따른 학력 저하가 점차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19 시기 저조했던 말하기 학습이 활성화했다는 현장 교사들의 의견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2017년 표집 평가 이후로 통계치 흐름을 보면 '수포자' 문제가 계속해서 중요해지고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기초학력 지도 등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중3 수학·영어, 대도시 학업성취도가 읍면 지역보다 우수

세계일보

2023년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성별 성취 수준을 보면, 중3·고2 모두 국어, 영어에서 여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3의 보통 이상 비율은 국어 과목의 경우 남학생은 52.5%, 여학생은 70.4%였다. 영어 과목에선 남학생 57.5%, 여학생 68.5%로 분석됐다.

고2의 보통 이상 비율은 국어 과목에서 남학생 44.7%, 여학생 59.7%였다. 영어 과목에선 남학생 63.2%, 여학생 77.9%로 나타났다.

다만 중3·고2 수학에서 성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세계일보

2023년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중3의 기초미달 비율은 국어 과목의 경우 남학생 12.7%, 여학생 5.3%였다.

수학에선 남학생 14.8%, 여학생 11.1%를 기록했고, 영어 과목에선 남학생 8.6%, 여학생 3.1%로 조사됐다.

고2의 기초미달 비율은 국어 과목에선 남학생 11.7%, 여학생 5.4%였다. 영어 과목에선 남학생 11.7%, 여학생 5.5%로 분석됐다.

고2 수학 과목에선 남녀 간 학업성취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고예은 온라인 뉴스 기자 jolichio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