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北 보유 핵탄두 50기… 조립 가능 핵탄두 수는 90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웨덴 싱크탱크 보고서

中은 1월 기준 90기 늘어난 500기

24기는 '실전 배치' 가능성도 제기

북한이 보유한 핵탄두 수가 50기로 지난해보다 20기 늘어났으며 조립 가능한 핵탄두 수는 90기에 이른다는 싱크탱크 추산치가 나왔다.

스웨덴 스톡홀름에 위치한 싱크탱크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16일(현지시간) 공개한 2024년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올해 1월 기준으로 핵탄두를 50기 보유해 1년 전보다 20기 늘린 것으로 추정됐다. 또 총 90개의 핵탄두를 조립할 수 있는 핵분열 물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

세계일보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4월 22일 '핵방아쇠'라 부르는 국가 핵무기 종합관리체계 내에서 초대형방사포를 운용하는 훈련을 진행했다며 "적들에게 보내는 분명한 경고 신호"라고 이날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북한의 작전 가능한 핵무기 보유량에 대한 추정치는 한국(2018년)과 미국(2020년)이 최근 공개한 정보 평가에서 언급한 20~60기 범위 내에 있다”며 “북한이 실제로 보유한 핵탄두의 수는 매우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 또 “북한은 핵무기에 사용되는 플루토늄을 생산해 왔지만, 핵무기에 사용되는 고농축우라늄(HEU)도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북한의 군용 핵 프로그램은 여전히 국가 안보 전략의 핵심”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SIPRI는 지난해 6월 공개한 2023년도 연례 보고서에서 북한이 보유한 핵탄두 수를 30기로, 조립 가능한 핵탄두 수를 50~70기로 각각 추정한 바 있다.

보고서는 또 지난 1월 기준 중국 보유 핵탄두가 전년 동기 대비 90기 늘어난 500기가 됐다고 밝혔다. 이 중 24기가 실전 배치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이 핵무기를 고도의 작전 경계 태세로 배치했고, 이 같은 경우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중국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2030년에는 미국이나 러시아만큼 많이 보유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세계일보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은 이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위협에 대비해 회원국들이 더 많은 핵무기를 보관고에서 꺼내 실전 배치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나토 회원국 중 핵무기 보유국은 미국과 프랑스, 영국 3개국이다. 그는 “나토의 목표가 ‘핵무기 없는 세계’이지만 러시아, 중국,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나토의 그렇지 않은 세계는 더 위험한 세계이기 때문에 핵무기가 존재하는 한 우리는 핵동맹으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핵무기 보유 규모와 실전배치 비율은 기밀이지만, 미국의 경우 보유 핵탄두 3700발 중 1700발을 언제든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홍주형 기자 jh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