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노총각 많은 이유 있었다…미혼男이 미혼女보다 20% 많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5세 비혼율 남성 46.5% 여성 29.1%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20%가량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 남녀의 성비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비수도권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과거 남아선호사상 등의 영향으로 남아 출생이 여아 출생보다 많은 상황이 오래 이어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아시아경제

[사진출처=픽사베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17일 발표한 보건복지 이슈앤포커스(449호)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 성비'를 보면 2021년을 기준으로 전국의 미혼 남성은 미혼 여성보다 19.6%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가능한 많은 미혼 남녀가 매칭되더라도 남성 미혼 인구가 남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다. 인구학적으로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결혼하기에 불리한 구조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불균형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더 두드러졌다. 미혼 남성의 과잉 비율은 경북(34.9%), 경남(33.2%), 충북(31.7%)에서 30%를 넘었다. 반면 서울은 2.5%로 평균보다 낮았으며, 부산도 16.2%로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였다.

결혼 성비의 불균형은 남녀 간 미혼율의 차이로도 나타났다. 2020년 시점에서 1985년생(당시 35세)의 미혼율은 남성 46.5%, 여성 29.1%로 남성이 여성보다 17.4%포인트 높았다.

미혼 남녀의 성비 불균형이 이처럼 큰 것은 남아 출생이 여아 출생보다 많은 상황이 30년 가까이 이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여아 100명당 남아 수를 의미하는 출생성비는 103∼107명을 정상범위로 본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출생성비는 1970년대부터 자연성비를 초과하기 시작해,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큰 격차를 유지했다.

남아 출생이 많았던 이유로는 남아선호사상,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자녀의 성 선택 욕구 증가(가족계획사업), 초음파 검사 등 자녀의 성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공급 등이 꼽혔다. 자연성비 범위 안으로 다시 출생성비가 들어온 건 2007년 이후부터이다.

이에 따라 결혼 성비 불균형이 1990년대 초반 나타났고,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불균형이 더욱 악화했다. 보고서는 "1970년부터 30년 이상 출생성비가 자연성비를 넘어서는 수준이 지속됐다"며 "이들이 재생산 연령대에 접어들었을 때 결혼 성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결혼 성비의 불균형이 특히 심각한 지역은 1980~1990년대 출생성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불균형하다는 특징이 있다"고 부연했다.

한편 통계청이 3월 발표한 '2023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4000건으로 전년 대비 1.0%(2000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이후 11년 연속 줄어들다 소폭 늘어난 결과인데, 이는 코로나19로 미뤄왔던 결혼이 지난해 1분기에 몰린 영향으로 분석됐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