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尹, 2개월 만에 국무회의…'의료계 집단행동' 언급 주목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亞 순방' 성과 소개…'K실크로드' 후속조치 당부

푸틴 방북 맞춰 '북러 밀착' 관련 경고 메시지도 관심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4.16/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성과 알리기에 나설 예정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것은 지난 4월 16일 이후 2개월 만이다.

국무회의는 통상적으로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한 주씩 번갈아 가며 개최한다.

4월 중순 이후에는 루마니아 대통령과 앙골라 대통령,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 등이 잇달아 방한해 윤 대통령을 만나는 등 정상외교 일정이 이어지며 한덕수 총리가 국무회의를 개최해 왔다.

윤 대통령은 이번 국무회의에서 지난주 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3국 국빈 방문에서 거둔 외교·경제 성과를 알리고 관련된 후속조치를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통해 한-중앙아시아 K실크로드 협상 구상에 관한 각국 지지와 우즈베키스탄 KTX 수출, 핵심광물 공급망 확보 등을 성과로 얻어냈다.

아울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날 북한을 방문하는 만큼 북러 군사협력 강화 움직임을 향한 경고 메시지가 나올지도 관심사다.

일각에서는 북한과 러시아가 1961년 '조소동맹' 수준에 이르는 군사적 협력 관계를 부활시킬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양국은 당시 '조소 우호 협력 및 상호 원조 조약'을 맺고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에 합의한 바 있다.

1996년에 조소동맹이 종료되긴 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며 탄약 부족 등에 시달리고 있는 러시아로서는 북한과 군사협력을 대폭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

국내 현안 중에서는 의료계 집단행동과 관련된 언급이 나올 수 있다.

전날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행정처분 취소를 요구하며 집단 휴진에 들어간 데 이어 이날부터는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집단 진료거부에 나선다.

윤 대통령으로서는 다시 확산되고 있는 의료계 집단행동에 관해 불법성을 경고하는 한편 관계 부처 장관들에게는 의료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해달라고 주문할 수 있다.

윤 대통령은 전날에도 한 총리에게 "의료계 불법 진료 거부에 대한 비상대책에 만전을 기하기를 바란다"고 지시했다.

kingko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