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스위프트 공연, 막대한 경제 효과로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부에노스아이레스=AP/뉴시스] '테일러노믹스(Taylornomics)'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키며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미국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가 9일(현지시각)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모뉴멘탈 스타디움에서 '에라스 투어' 콘서트를 열고 공연하고 있다. 앞서 스위프트는 지난 10개월 동안 65개의 곡을 애플 뮤직 '오늘의 톱 100: 글로벌 차트'에 올리면서 '2023 애플 뮤직 올해의 아티스트로 선정됐다. 2023.11.10.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황진현 인턴 기자 =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 은행(BOE)의 금리 인하가 미국 팝가수 테일러 스위프트의 영국 공연으로 인해 연기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 세계에서 약 120만명의 팬들이 영국으로 몰리면서 인플레이션(물가)을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는 예측이 나왔기 때문이다.

14일(현지시각) 미국 CNBC에 따르면 투자은행 TD증권이 8월 스위프트 해외 팬들이 영국 런던 공연을 관람하기 위해 몰려오면서 9월 금리 인하가 지연될 것으로 전망했다.

루카스 크리샨과 제임스 로시터 TD증권 거시 전략가는 "우리는 여전히 8월에 BOE의 금리 인하를 예상하지만, 8월의 인플레이션 데이터로 인해 9월에는 금리가 동결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현재 영국 중앙은행의 기준 금리는 5.25%로 16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해당 매체에 따르면 65명의 경제학자 중 2명을 제외한 모든 경제학자가 8월, 금융 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변수는 스위프트의 8월 영국 투어가 금리 정책 판단의 근거가 되는 물가 지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스위프트가 투어 콘서트를 여는 곳마다 해외 관광객들이 몰리면서 교통·숙박과 기타 소비 지출을 통한 막대한 경제효과가 나타나자 '스위프트노믹스', '스위프트플레이션' 등의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크리샨과 로시터는 "호텔 가격의 급등은 서비스 인플레이션에 일시적으로 최대 30bp(헤드라인 +15bp)를 더할 수 있다"고 밝혔다.

TD 증권은 "스위프트가 지난 주말 스코틀랜드 수도를 방문하는 동안 스코틀랜드 수도의 호텔 가격이 평소보다 더 큰 상승을 보인 반면, 목요일 잉글랜드 북서부 구간 공연을 마무리한 리버풀에서는 상승 압력이 덜 두드러졌다"고 밝혔다.

6월 공연이 열리는 웨일스 카디프는 비교적 규모가 작은 도시여서 인플레이션 충격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8월 영국 런던 공연은 영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이 상당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스위프트가 영국 공연을 시작한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콘서트와 관련된 수익이 약 7700만파운드(약 1354억원)로 파악됐다. 바클레이스은행은 스위프트의 팬들이 영국 공연 기간 동안 약 10억파운드(약 1조7586억원)를 지출할 것으로 예측했다.

영국 중앙은행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금리를 결정할 때 다양한 경제 지표를 살펴본다"고 밝히면서도 스위프트 공연와 금리 인하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답변은 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중앙은행은 20일 회의를 열어 최신 금리 결정을 발표하고 향후 인플레이션 방향에 대한 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jinhyunh97@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