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세계인의 소주 시대 연다"…'100년' 하이트진로, 하노이 비전 선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베트남 하노이서 '글로벌 비전 2030' 선포

'소주의 세계화' 넘어 '소주의 대중화' 이룬다

해외 소주 판매 1.8억병→5.1억병 확대

"진로 해외 매출 5000억원 달성"

"성공적인 소주의 세계화를 넘어 대한민국 넘버원 브랜드의 자존심을 걸고 '진로(JINRO)'가 메인 주류시장으로 더 큰 항해를 시작합니다."

올해 창립 100주년을 맞은 하이트진로가 소주의 세계화를 넘어 소주의 대중화에 나선다. 한국인의 일상에서 언제나 소주가 함께했던 것처럼 세계인의 일상에서도 함께하는 주류로 소주를 키워내겠다는 것이다. 하이트진로는 소주를 알리는 데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진로 등 주축 브랜드를 중심으로 세계 주류시장의 중심으로 거듭나 제2의 도약을 이루겠다는 각오다.

하이트진로는 지난 9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종합주류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글로벌 비전 2030'을 선포했다.

아시아경제

황정호 하이트진로 해외사업본부 전무가 지난 9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30 글로벌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소주의 세계화' 넘어 '소주의 대중화' 이룬다
하이트진로는 그동안 소주의 세계화 전략을 통해 구축한 세계시장에서 소주와 진로의 인지도를 토대로 '진로의 대중화'를 이루겠다는 새로운 목표로 제시했다. 2030년까지 전세계 주류시장에서 진로만의 독보적인 브랜드 경쟁력을 구축해 앞으로 맞이할 새로운 100년 먹거리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새로운 비전인 진로의 대중화는 성공적인 소주의 세계화를 토대로 진로를 세계인들의 일상과 함께하는 주류로 성장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하이트진로는 'EASY TO DRINK, DRINK TO LINK(편하게 한 잔, 한 잔 후 가깝게)' 라는 새로운 글로벌 슬로건을 기치로 세워 진로의 대중성을 전달하고, 술 이상의 인간관계 소통의 수단으로 전 세계 소비자에게 다가갈 예정이다.

황정호 하이트진로 해외사업본부 전무는 "대한민국 1위 브랜드의 자존심을 걸고 진로가 메인 주류시장으로 더 큰 항해를 시작한다"며 "이는 소주와 증류주 카테고리를 넘어 맥주와 위스키, 와인 등 메인 주류시장의 영역에 도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하이트진로는 더 많은 소비자들이 진로라는 이름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제품으로 더 넓은 유통망에서 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소비자를 찾아가겠다"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베트남 하노이 후지마트에 하이트진로의 소주 제품들이 진열돼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하이트진로는 2016년 '글로벌 비전 2024'를 선포하며 소주를 세계적 주류 카테고리로 육성시키겠다는 소주의 세계화 전략을 추진했다. 하이트진로는 '참이슬'과 '진로' 등 일반소주 중심인 국내시장과 다르게 기존 일반소주에 신규 소비자가 유입할 수 있도록 과일소주를 더한 투 트랙 전략으로 세계시장 공략에 나섰다. 국가별 트렌드와 특성을 반영한 제품을 통해 현지화에 속도를 냈다. 이를 통해 2017년 8개국이던 우선 공략국가를 올해 17개국으로 확대해 운영하는 등 현재 총 86개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하이트진로의 소주 세계화 전략 이후 글로벌 시장 내 소주에 대한 관심도 증가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소주에 대한 미국·일본 등 주요 국가별 인지 수준이 약 88.6%를 기록했다. 같은 해 전 세계 소주 판매 규모 역시 2017년 대비 약 2.5배 확대됐고, 소주 단일 품목으로 수출액 1억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다. 이러한 성과를 토대로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의 상품 카테고리에 '소주(SOJU)'가 등록되며 국제적인 상품 명칭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2030년까지 소주 해외시장 매출 5000억 목표
하이트진로는 이번 글로벌 비전 발표를 통해 해외사업의 중·단기 미래 전략도 공개했다. 하이트진로는 진로가 글로벌 소비자 사이에서 대중 브랜드로 뿌리내리기 위해 제품 강화와 유통 확대, 커뮤니케이션 확장 전략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1억8600만병으로 예상되는 소주 해외 판매량을 2030년까지 5억1000만병 수준까지 끌어올리고, 이를 통해 2030년 해외시장 소주 매출 5000억원을 달성한다는 구체적인 목표도 제시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선 과일소주의 지속적인 성장세에 맞춰 새로운 과일 향과 다양한 도수의 제품을 개발하는 등 제품 강화를 통해 신규 소비자 유입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참이슬 등 일반소주로 정착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소주가 생소한 해외 소비자에게 상대적으로 예측이 가능한 과일 맛 소주를 활용하는 것이 초기전략으로 효과적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과일소주를 통해 소주와 진로 브랜드에 대한 경험과 인지도 확대에 성공했다고 판단하면 다양한 프로모션을 적극 활용해 궁극적으로 일반소주의 음용을 이끌어낸다는 전략이다.

제품 강화와 더불어 기존 가정시장에서 유흥시장으로 영업범위를 확대하는 유통 강화 전략도 펼친다. 구체적으로 로컬 프랜차이즈 계약과 지역내 핵심 상권을 우선 공략하고, 거점 업소와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는 등 공격적인 영업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황 전무는 "소주 세계화 선포 이후 편의점·대형마트 등 현지 가정채널에 집중해 전략국가의 주요 채널 내 제품 입점을 거의 완료했다"며 "이제는 코로나 기간 활발하지 못했던 유흥채널 공략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흥채널을 통해 제품 홍보와 경험의 기회를 확대해 유흥시장 소비가 늘어나면 가정채널에 입점한 제품의 판매회전율도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양한 해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진로의 글로벌 이미지 강화를 제고한다. 글로벌 브랜드 수준에 맞는 규모 있는 스포츠 이벤트 후원 활동과 국가별 페스티벌과 박람회 참여, 다양한 콘텐츠 협업 등 대대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쳐 진로가 세계적인 주류 브랜드와 어깨를 견줄 수 있도록 자리매김하게 만든다는 방침이다.

아시아경제

베트남 타이빈성에 들어설 하이트진로 생산공장 조감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하이트진로는 해외시장 수요 확대에 맞춰 베트남 타이빈성 그린아이파크 산업단지 내에 첫 해외 생산공장을 건립한다. 약 2만5000평 부지에 설립되는 하이트진로 베트남 공장은 2026년 완공 예정이며, 초기 목표 생산량은 연간 100만 상자다. 하이트진로는 신규 생산 공장이 동남아 시장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 전무는 "하이트진로는 대한민국 대표 종합주류회사로서 사명감을 갖고 소주 세계화에 앞장서며 소주를 세계적인 주류 카테고리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며 "이번 비전 선포를 통해 글로벌 종합주류회사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한편 국가대표 소주의 사명감을 갖고 진로의 대중화를 통해 전 세계 모든 이들과 늘 함께하며 삶의 즐거움을 나누는 앞으로의 100년을 설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하노이(베트남) =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