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푸틴, 中 이어 北 찾아 "反서방 연대" 세 과시…다음 행선지는 베트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 CNN "푸틴, 우크라 침공 이후 고립된 이미지 탈피하고 존재감 확인"

뉴스1

지난 5월 중국을 국빈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베이징 톈안먼 광장의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환영식에 시진핑 국가주석과 참석을 하고 있다. 2024.05.17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류정민 기자 = 미국 CNN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19일 북한을 방문하는 것에 대해 반(反)서방 연대가 한층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17일(현지시간) 평가했다.

CNN은 이날 주요 뉴스로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다루면서 "이번 방북은 서방에 대한 공통된 적대감과 현재 진행 중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있어 북한과 러시아 두 국가 간의 파트너십을 공고히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푸틴 대통령은 북한 방문에 이어 19일 베트남 하노이로 이동한다.

푸틴 보좌관인 유리 우샤코프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계기로 매우 다양한 의제가 논의될 것"이라며 "양국은 새로운 전략적 파트너십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우샤코프는 이 협정이 다른 나라를 도발하거나 겨냥한 것이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더 큰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새로운 협정이 1961년, 2000년, 2001년에 모스크바와 평양 사이에 체결된 문서를 대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존 커비 미국 국가안보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우려하는 것은 푸틴의 방문 자체라기 보다는, 두 나라 사이의 관계 심화"라고 말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와 한국 등은 최근 몇 달간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포함해 상당한 군수 물품을 제공한다고 비난해 왔다. 아울러 러시아가 북한의 초기 군사 위성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국제 제재를 위반하고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지만, 북한과 러시아 두 국가 모두 이를 부인해 왔다.

이번 푸틴 대통령 방북에 대해 CNN은 지난해 9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해 전투기 생산 공장과 로켓 발사 시설을 견학한 것에 대한 답방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을 인용, 김 총비서가 "우리 인민은 러시아 군대와의 성공적인 사업을 위한 전폭적인 지지와 연대를 보낸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푸틴 대통령은 노동신문에서 이번 방북에 대해 "북한이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에 대해 확고한 지지를 보여준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하며, 두 나라가 서방 집단의 야망에 맞설 준비가 돼 있다"라고 말했다.

푸틴은 또 "두 나라는 다각적인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라며 "서방의 통제를 벗어난 대안적인 무역과 상호 해결 메커니즘을 개발하고, 불법적인 일방적 제한에 공동으로 대응하며, 유라시아에서 평등하고 분할할 수 없는 안보의 구조를 형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1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9월 러시아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2023.09.13.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윤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푸틴의 방북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이탈리아에서 열린 G7 정상회담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를 재확인하고 동결된 러시아의 자산에서 얻은 500억 달러 지원에 사용하기로 합의한 지 불과 며칠 만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러시아의 대응 의지를 분명히 밝힌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젤렌스키는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러시아 군대의 완전 철수를 요구하고 있지만, 푸틴은 러시아가 점령한 지역에서의 우크라이나 군대 철수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 철회 등을 재차 제안해 이를 거부했다.

CNN은 푸틴 대통령이 2000년 이후 24년 만에 이뤄진 이번 방북에 대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고립된 이미지를 깨고 세계 무대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재확립하려는 열망을 갖고 있는 가운데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푸틴은 지난달에는 중국을 국빈 방문해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함께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 질서에 대해 공동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또 러시아는 지난주에는 브릭스(BRICS) 회의를 위해 중국, 이란,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등의 외무장관을 초대하기도 했다.

CNN은 "러시아는 이전까지는 이론적으로는 미국 본토에 도달할 수 있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 시험을 포함한 북한의 불법 무기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국제 제재와 유엔의 지원조사를 지지했다"라며 "그러나 러시아의 북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서방과 마찰이 커지면서 이러한 역학관계가 바뀌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ryupd0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