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한국 국가경쟁력 28→20위 '껑충'… 경제성과 분야는 2계단 ↓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7개국 중 20위를 차지해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기업효율성 분야에서 10계단 상승한 가운데 인프라 분야도 순위가 올랐다. 다만, 민간 서비스수지 순위가 크게 하락하며 경제성과 분야에서 2계단 하락했고, 조세정책 등 정부효율성 분야도 소폭 하락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D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IMD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신흥국 등 67개국을 대상으로 매년 6월 세계경쟁력 연감을 발표한다.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통계를 기초로 전 세계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병행해 각국의 역량을 평가한다.

세계일보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IMD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올해 20위로 집계돼 2023년(28위)보다 8계단 올랐다. 이는 1997년 평가 대상에 포함된 이후 최고 순위다. 싱가포르가 작년(4위)보다 3계단 올라 1위를 기록했고, 스위스와 덴마크, 아일랜드, 홍콩이 뒤를 이었다. 대만은 8위, 미국과 중국은 각각 12위, 14위를 기록했으며 일본은 38위였다. 기재부는 국민소득 3만달러‧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 중 한국이 미국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4대 분야별로 보면 ‘기업 효율성’ 분야가 작년 33위에서 올해 23위로 10계단 올라 종합순위 상승을 이끌었다. 생산성·효율성(41→33위), 노동시장(39→31위), 금융(36→29위), 경영관행(35→28위), 태도·가치관(18→11위) 등 5개 부문 골고루 상승했다. ‘인프라’ 분야도 16위에서 11위로 5계단 올랐다. 기본 인프라(23→14위), 기술 인프라(23→16위), 과학 인프라(2→1위), 교육(26→19위) 부문 순위가 올랐다. 다만 보건인프라(14→27위, 설문)가 하락하면서 보건·환경 부문은 29위에서 30위로 하락했다.

‘경제성과’ 분야는 작년 14위에서 16위로 2계단 하락했다. 성장률(44→34위) 등 국내경제 부문 순위가 11위에서 7위로 올랐으나 국제무역 부문이 42위에서 47위로 하락했다. 국제무역 부문 순위 하락은 여행수지악화 등으로 민간서비스수지(38→62위) 순위가 크게 떨어진 점이 영향을 미쳤다. 국제투자와 물가 부문도 각각 3계단(32→35위), 2계단(41→43위) 하락했다.

‘정부 효율성’ 분야는 38위에서 39위로 떨어졌다. 세부적으로 재정(40→38위), 제도 여건(33→30위), 기업 여건(53→47위), 사회 여건(33→29위) 등 4개 부문 순위가 올랐으나 조세정책이 26위에서 34위로 하락했다. 조세정책 부문 중 2022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조세가 32위에서 38위로, 소득세가 35위에서 41위로, 법인세가 48위에서 58위로 떨어졌다. GDP 대비 조세부담이 높을수록 순위는 하락한다.

기재부는 “기업효율성 제고를 더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고 재정의 지속가능성 확보, 세제 합리화, 기회균등 등 정부 효율성 제고,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및 수지개선 등 경제성과 개선, 인프라 구축 등 종합적인 국가경쟁력 강화에 더욱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