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북한군 20~30명 MDL 또 침범…지뢰작업 중 사상자 발생(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8일 오전 8시 30분경 북한군 20~30명 침범

4월경부터 다수 인력 투입해 다양한 작업 진행

월남 및 귀순 차단 등 내부통제력 강화 위한 조치

뉴시스

[서울=뉴시스] 합동참모본부는 18일 오전 8시 30분께 중부전선 비무장지대 내에서 작업하던 북한군 수십명이 군사분계선(MDL)을 침범해 우리 군의 경고방송 및 경고사격에 북상했다고 밝혔다.합참 관계자는 북한이 4월경부터 다수병력을 투입해 경계력 보강 일환 불모지 조성, 지뢰매설, 전술도로 보강, 대전차 방벽으로 보이는 미상 구조물 설치 등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사진은 북한군이 방벽을 세우는 모습. (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2024.06.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옥승욱 기자 = 오늘(18일) 오전 북한군 수십명이 군사분계선(MDL)을 또 한번 침범하는 일이 발생했다. 현재 접경지역 일대에서 북한군이 경계력 보강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진행 중인 가운데, 우리 군은 북한군이 지뢰작업 도중 사상자가 발생했음에도 무리하게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우리 군은 이날 오전 8시30분경 중부전선에서 작업을 하던 북한군 20~30명이 MDL을 20m 정도 침범한 장면을 식별했다. 이에 군은 경고방송 이후 경고사격을 실시했고, 북한군은 즉시 북상했다.

북한군 대부분은 도끼나 곡괭이 등 작업도구를 든 채 MDL을 넘어온 것으로 확인됐다. 경계병력 일부는 무장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 관계자는 "지난 9일 침범과 같이 작업을 하던 인원들의 단순 침범으로 판단한다"며 "적의 추가적인 특이동향은 없었다"고 말했다.

북한군의 MDL 침범은 9일 만이다. 우리 군은 지난 9일 낮 12시 30분경에도 북한군 20~30명이 MDL 이남으로 넘어온 것을 식별하고, 경고방송과 경고사격을 실시했다. 이에 북한군은 즉시 북상했다.

북한군은 올 4월경부터 북방한계선 등 전선지역 수개소에서 다수병력을 투입해 경계력 보강 일환 불모지 조성, 지뢰매설, 전술도로 보강, 대전차 방벽으로 보이는 미상 구조물 설치 등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대전차 방벽 추정 구조물은 북방한계선상에서 4~5m 높이로 지어지고 있다고 한다. 주요 축선 부근 4개소에서 짧게는 10여m에서 길게는 수백미터까지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대전차 방벽 추정 구조물을 DMZ 북방한계선을 따라 연결할 수 있냐는 질문에 합참 관계자는 "산악지역까지 대전차 방벽을 설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선을 그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합동참모본부는 18일 오전 8시 30분께 중부전선 비무장지대 내에서 작업하던 북한군 수십명이 군사분계선(MDL)을 침범해 우리 군의 경고방송 및 경고사격에 북상했다고 밝혔다.합참 관계자는 북한이 4월경부터 다수병력을 투입해 경계력 보강 일환 불모지 조성, 지뢰매설, 전술도로 보강, 대전차 방벽으로 보이는 미상 구조물 설치 등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사진은 북한군이 지뢰를 매설하는 모습. (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2024.06.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군은 북한군이 전선지역 일대 불모지 조성 및 지뢰작업간 수차례의 지뢰폭발 사고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합참 관계자는 "수차례 폭발이 있었다"며 "사상자가 발생해도 개의치 않고 해뜰 때부터 해질 때까지 무리하게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군은 현재 DMZ 내 10개소 정도에서 적게는 수십명에서 많게는 수백명을 투입해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한다. 이로 미뤄볼 때 하루에 투입되는 인원은 1000명이 넘을 것이라는게 우리 군 당국의 판단이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의 이러한 활동은 북한군과 북한 주민의 월남 및 귀순 차단 등 내부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며 "MDL을 소위 국경선화하기 위한 활동과의 연계성은 지속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향후, 북한은 기상, 작업병력과 자재수급 상황 등을 고려해 작업지역을 점차 확대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군은 전선지역 일대 우발상황 발생에 대비해 북한군의 전선지역에서의 활동을 면밀히 추적하고 있다. 유엔사와도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23일 국방성의 9·19 군사합의 파기 발표 이후 철수 감시초소(GP) 복원을 개시해 올해 1월경 완료했다. 이와 함께 경의선·동해선·화살머리고지 등 남북 연결도로 일대에 지뢰를 매설하기도 했다.

올해 1월16일 최고인민회의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북 연계조건 분리조치를 지시한 이후 최근에는 동해선 가로등과 철도 레일 등을 제거하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우리 군의 대응은 작전을 수행하는 우리 장병들의 안전확보와 작전보안을 위해 세부적인 답변이 제한된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okdol99@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