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오늘 제주부터 ‘최대 200㎜’ 초강력 장마…내륙은 35도 불더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17일 오전 비가 내리는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송악산에서 관광객이 우산·우비 등을 갖추고 산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에 이르면 19일 밤부터 비가 내리며 올 여름 장마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18일 오전 수시 브리핑에서 정체전선에서 발달한 저기압이 동쪽으로 느리게 이동하면서 19일 밤 9시부터 21일까지 많은 양의 비가 올 것이라고 예보했다. 예상 강수량은 50~100㎜, 많은 곳은 150㎜ 이상, 산지에선 200㎜의 비가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일에는 돌풍과 천둥, 번개 등을 동반한 비가 시간당 30㎜ 수준으로 강하게 퍼부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상민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태평양고기압이 북위 30도까지 북상해 정체전선을 밑에서 받치면서 남하하지 못하게 하고, 중국 내륙에서 발달한 기압골이 상층 기압골의 지원을 받으면서 저기압으로 발달해 지속해서 영향을 줄 때가 장마철의 시작”이라며, 19~20일 새벽 사이 우리나라 주변으로 이런 기압 배치가 형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비는 제주도에서 21일 새벽까지 이어지다 잠시 그친 뒤 다시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주말을 포함한 22~24일,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가 제주 남쪽까지 확장하며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비가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 시기, 우리나라 북쪽을 지나는 저기압이 깊게 내려올 경우, 남쪽 일부 지역에도 비를 올 것으로 예상된다.



장마는 보통 제주도에서 시작해 남부, 중부 지역으로 올라온다. 1991~2020년까지 30년간 기상청 장마 통계를 보면, 제주는 평균 시작일이 6월19일, 남부 지역 6월23일, 중부 지역은 6월25일이다. 다만 2000년 이후 제주·남부·중부 지역 가운데 두 지역에서 동시에 장마가 시작한 해가 16번, 전국이 동시에 시작한 해가 1번(2007년), 중부 지역부터 거꾸로 시작한 해(2013년)가 1번 있는 등 장마 시작일이 ‘교과서적 패턴’을 따르진 않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한겨레

제주 장마철 관련 일기도. 기상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상청 중기예보에 따르면 중부 지역은 다음주까지 아직 비 예보는 없다. 비가 내리지 않는 지역에선 일주일 넘게 지속하는 불볕더위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이날 경기 남부 내륙과 전남 동부, 경상권을 중심으로 최고 체감온도가 33도 안팎으로 높아 폭염특보를 발효했다. 서울에도 19일 낮 최고기온이 35도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되며 첫 폭염특보가 발효될 가능성이 있다.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는 낮 동안 오른 기온이 충분히 내려가지 못하면서 열대야가 나타나는 곳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서풍이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기온이 높아지는 단열승온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양양에서는 이미 17일 밤 사이 최저 기온이 25.3도(18일 새벽 4시18분)를 기록하면서 열대야가 나타났다. 열대야는 밤사이 기온이 25도 이상 유지되는 현상을 말한다.



한편, 1991~2020년 장마 기간은 평균 30여일(제주 32.4, 남부 31.4, 중부 31.5일)이며, 실제 강수일수는 17여일이다. 하지만 기상청이 6월24일부터 7월21일까지 기상 상황을 예측한 ‘1개월 전망’에 따르면 이 기간 비가 평년보다 적게 올 확률은 20%이며, 평년보다 기온이 낮은 확률은 6월 마지막 주와 7월 첫주엔 20%, 7월 둘째주와 셋째주엔 10%에 불과하다. 한마디로 평년보다 비가 적게 내리고 기온이 낮아질 가능성이 적다는 얘기다. 장마가 끝난 뒤에는 덥고 습한 성질을 가진 북태평양고기압이 한반도를 뒤덮으며 본격적인 무더위가 찾아올 전망이다.



신소윤 기자 yoon@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오직 한겨레에서 볼 수 있는 보석같은 기사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