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푸틴 방북' 앞두고 모인 韓日中…"힘 모으자" 한목소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푸틴 방북날, 서울에서 한·일·중 협력 포럼

中 왕이 "글로벌 평화 위해 3국 협력 핵심"

한국과 일본, 중국 외교 당국이 변화하는 글로벌 정세 속 3국이 어느 때보다 힘을 모아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을 앞두고 한·중·일 3국이 서울에서 협력 의지를 다진 것이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8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한·일·중 3국 협력사무국(TCS) 주최로 열린 '2024 한·일·중 3국 협력 국제포럼' 서면 축사를 통해 "오늘날의 엄중한 지역 정세와 글로벌 복합위기 하에서도 수천년의 세월을 함께해온 이웃이자 세계 인구의 5분의 1, 세계 총생산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글로벌 강국인 세 나라 간 협력은 더욱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한·일·중 3국 협력 국제포럼 개회식에서 김성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과 미즈시마 고이치 주한일본대사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인선 외교부 2차관은 포럼에서 "3국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모두가 알고 동의하지만,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이 순탄하지만은 않을 수도 있다"며 "어려움이 클수록 수천년의 세월을 함께해온 이웃이자 글로벌 강국인 한·일·중 협력이 중요하다"고 보탰다. 그는 특히 지난달 서울에서 열린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중 협력이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맞이했다면서 "한국 정부는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을 발전시켜서 3국 협력의 미래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은 서면 축사를 통해 "올해는 3국 협력이 25주년을 맞는 해"라며 "지난 25년간 3국 협력은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다자협력 메커니즘 중 하나로 발전했으며, 3국 국민에게 혜택을 주고 지역 및 글로벌 평화·번영을 촉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했다.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도 현장에서 "지역·세계 평화와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3국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우리가 힘을 합치면 중·한·일 협력의 길은 더욱 넓어지고, 보폭은 더욱 안정되고, 성과는 더욱 풍성해질 것"이라고 했다.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은 서면 축사에서 "세계가 역사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3국이 더욱 협력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했다. 미즈시마 고이치 주한일본대사는 차기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 회의를 잘 준비하겠다고 했다.

아시아경제

1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한·일·중 3국 협력 국제포럼 개회식에서 강인선 외교부 2차관이 축사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포럼에선 3국 협력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여러 제언이 나왔다.

조양현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장은 3국 정상이 여러 차례 회의 정례화에 합의했음에도 양자 간 역사·영유권 갈등, 미·중 경쟁 등으로 일부 중단됐다는 점을 지적하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이 정기적으로 정상회의를 개최하듯이 한·일·중 다자 협력을 계속하는 전통을 만들어야 한다고 짚었다. 특히 중국에서 총리 대신 주석이 참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센터장은 "미·중 경쟁이 3국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사실"이라며 "미·중 간 체제 경쟁적 요소가 3국 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게 앞으로 3국 협력에 중요하다"고 말했다.

닝푸쿠이 전 주한중국대사도 "3국 협력은 지정학적 정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며 "냉전식 사고방식을 피하고 지역 평화·안정을 추구하는 것이 3국 공동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미야케 쿠니히코 일본 내각관방참여(자문)는 한·일·중 협력의 활동 범위 확장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3국 협력이라는 기본 틀은 유지하되, 참여국과 활동 범위를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지난달 3국 정상회의에서 동아시아 황사 저감과 관련해 몽골과 협력하기로 한 구상을 언급하며 이런 방식이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