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창용 "물가상승률 예상대로 둔화…목표 수렴 확인 아직"(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준금리 의견 많지만…금통위에서 독립적으로 결정"

"인플레 둔화 체감 안되는 이유…높은 생활비 수준 탓"

연합뉴스

모두발언 하는 이창용 총재
(서울=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모두발언 하고 있다. 2024.6.18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예상한 대로 둔화하고 있지만, 물가가 목표 수준에 수렴하고 있다고 확신하기는 아직 어렵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18일 오후 한은 별관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 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월에 예상한 것과 같은 수준으로 가고 있지만, 물가가 타깃 수준에 수렴했다고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7월 통화정책방향회의까지 기다려주셔야 금통위원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고, 데이터도 좀 더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지난 16일 방송 인터뷰에서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환경이 되고 있다'고 평가한 데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다른 여러분이 금리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있다"며 "독립성이라든지 그런 문제가 있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금통위원들이 여러 의견을 듣고 독립적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이창용 총재,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
(서울=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모두발언 하고 있다. 2024.6.18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한은은 이날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통해 향후 물가 상승률은 완만한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이라면서도, 지정학적 리스크·기상 여건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고 진단했다.

한은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추세적으로 완만한 둔화 흐름을 이어가다가, 하반기 중 2.5%를 밑도는 수준까지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이 둔화하고 있고, 내수 측면에서의 물가 압력도 제한적일 것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다만 전기·도시가스 요금 인상, 유류세 인하 조치 환원 가능성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 흐름을 일부 제약할 수 있다.

한은은 물가 목표 수렴에 대한 더 큰 확신을 위해서는 농산물 가격과 국제유가 움직임, 기업의 가격 인상 확산 정도, 내수 흐름 등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물가 경로 전망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아울러 이 총재는 이날 우리나라의 생활비 수준이 높은 탓에 국민들이 물가상승률 둔화를 체감하기 어렵다고도 말했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의·식·주와 관련된 필수 생활물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평균보다 약 60%나 더 높았다.

특히 사과·돼지고기·소고기·골프장 이용료·티셔츠·남자 정장 등의 가격 수준은 이들 나라 가운데 세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비쌌고, 주거비도 OECD 평균보다 20% 이상 더 들었다.

이 총재는 "인플레이션은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생활비 수준은 통화정책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인플레이션이 지난해 초 5.0%에서 올해 5월 2.7%로 내렸지만, 국민들이 피부로 잘 느끼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생활비 수준을 낮추기 위해 어떤 구조개선이 필요한지 고민해볼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과도하게 높은 필수소비재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공급채널 다양화, 유통구조 개선, 공공서비스 공급 지속가능성 확보 등을 제안했다.

이 총재는 이런 정책 제안에 대해 "물가 수준을 분석하고, 어떤 구조조정이 필요한지 의견을 낸 것"이라며 "어떤 정책을 취하고, 어떤 속도로 정책을 변화시킬지는 정부의 역할"이라고 부연했다.

ssu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