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전기차 배터리로 아파트에 전력공급"…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위해 민·관협력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제조뿐 아니라 이동형 충전 서비스, 전력 거래 플랫폼 서비스 등 배터리 서비스 산업 지원에 나선다. 배터리 서비스 산업은 글로벌 전기차 보급 확산과 함께 '미래 먹거리'로 지목된다. 전기차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한 뒤 아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등 배터리를 활용해 다양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다.
아시아경제

정부 세종청사 국토교통부 건물 모습. [사진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는 18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 민·관 협력 내용을 담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간담회'를 연다고 밝혔다. 간담회는 한국배터리산업협회,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가 공동 주최한다. 참여 기업이 배터리 서비스 사업 모델을 소개하는 비즈니스 포럼도 사전행사로 열린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는 배터리가 전기차에 탑재된 뒤부터 충전, 정비·교체, 탈거·운송, 재제조·재사용·재활용까지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각종 서비스를 뜻한다. 전기차 배터리를 활용한 전력 공급 서비스 등도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에 포함된다.

간담회에서는 업계가 선정한 8대 유망 비즈니스 모델이 제시됐다. 전기차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처럼 활용하는 이동형 충전 서비스, 배터리를 리스 형태로 빌리는 배터리 구독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이날 국토부, 산업부, 환경부 등 3개 부처가 업계와 함께하는 '민·관 공동협의체'도 출범했다.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배터리의 생애주기별 서비스'가 미래 유망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같은 신산업 육성을 위해 민·관 협력이 강조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전에는 정부가 배터리 제조사와 만나 이들의 애로를 듣고 지원했다면 앞으로는 배터리사뿐 아니라 배터리 관련 서비스까지 지원 범위가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정부와 업계는 8대 유망 모델뿐 아니라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의 육성과 발전을 위해 지속해서 협력할 계획이다. 이 협의체를 통해 업계의 애로사항을 듣고 문제를 해결한다는 구상이다.

또 정부와 업계는 이 협의체를 통해 ▲ 산업 활성화에 필요한 성능평가, 운송·보관 등 공통의 기준 마련 ▲ 배터리 교체, 이동형 충전기 등 유망 서비스 모델에 대한 실증사업 추진 등도 함께 한다.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은 "전기차 배터리 산업은 전기차 동력원으로의 역할에서 나아가 다양한 서비스 사업으로 외연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며 "국민이 편리하게 전기차와 배터리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관계부처와 힘을 모아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박승욱 기자 ty161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