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배터리 구독서 실시간 진단까지···민관 '8대 유망 서비스' 육성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민·관 참여 '민관 공동협의체' 발족

실시간 진단 등 '8대 비지니스' 선정

배터리 서비스 시장 연 21.4% 성장

"캐즘 극복 위해 배터리 가격 낮춰야"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해 배터리 구독, 실시간 진단 등 ‘8대 유망 배터리 서비스 모델’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전기차 캐즘(대중화 직전 수요 둔화)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업계가 배터리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환경부는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간담회’를 개최했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란 배터리가 전기차에 탑재된 이후부터 충전, 정비, 탈거·운송, 재제조·재사용 등 생애주기 전반에 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뜻한다. 간담회에는 강경성 산업부 제1차관,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 임상준 환경부 차관이 참석했다.

이날 업계는 ‘8대 유망 배터리 서비스 모델’을 선정했다. 전기차에 데이터 수집장치를 부착해 배터리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진단 모델부터 전기차 배터리를 리스 형태로 빌려서 사용하고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배터리 구독·교체 모델 등 다양한 비지니스가 공유됐다. 배터리 재제조와 인증을 전문으로 하는 모델도 제시됐다. 이외에도 △탄소 크레딧·전력 거래 모델 △배터리 회수·운송·보관 모델 △이동형 충전 서비스 등도 유망 모델로 꼽혔다.

정부는 이같은 비지니스 모델을 지원하기 위해 ‘민·관 공동협의체’를 공식 출범하며 호응했다. 업계가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애로사항을 확인하고 소통하기 위한 목적이다. 아울러 정부와 업계는 성능평가, 공통 기준 마련, 실증사업 등에 대해서도 함께 협력한다. 분리된 채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자동차와 배터리 산업간 협업도 촉진한다.

정부와 업계가 머리를 맞댄 것은 배터리 서비스 산업이 전기차 캐즘의 돌파구 중 하나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배터리 활용성을 높여 가격을 낮추는 과정에서 전기차 보급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회장은 “전기차 캐즘 극복을 위해서는 전기차 가격의 가장 큰 요인을 차지하는 배터리 가격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며 “민·관 협의체를 통하여 신산업 창출 및 EV 수익성 전환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터리 서비스 산업은 꾸준히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포춘 인사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배터리 서비스 시장은 연 21.4%씩 성장해 2030년 53억 달러 규모로 몸집을 키울 예정이다.

이건율 기자 yul@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