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민관 함께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키운다...8대 유망 비즈니스 모델 봤더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육성' 포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한국배터리산업협회 주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캐즘 돌파구"
한국일보

18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앞줄 네 번째부터 백원국 국토부 2차관, 강경성 산업부 1차관, 임상준 환경부 차관과 민간 분야 참석자들이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한 민관 공동 협의체' 출범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을 돌파하고 배터리를 활용한 서비스 산업을 키우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손을 잡았다. 정부와 업계는 배터리 구독, 이동형 충전 등 8대 유망 서비스 모델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정부는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3개 부처와 자동차·배터리 관련 업계가 참여하는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한 민관 공동 협의체'를 발족했다고 알렸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는 배터리의 교체, 재제조, 재사용 등 배터리를 활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각종 서비스를 말한다.

이날 협의체 출범식에는 강경성 산업부 1차관, 백원국 국토부 2차관, 임상준 환경부 차관 등 정부 고위 관계자와 LG에너지솔루션, SK온,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등 배터리 관련 업계 관계자와 현대자동차, KG모빌리티,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등 완성차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출범식에 앞서 사업 성장이 예상되는 '8대 유망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모델'도 소개됐다. 8대 유망 모델은 ▲ 전기차 배터리 성능 진단 ▲ 배터리 구독 및 교체 ▲ 탄소 크레디트 거래 ▲ 재제조 배터리 진단 및 평가 ▲ 이동형 충전 ▲ 전력거래 플랫폼 ▲ 배터리 회수·운송·보관 ▲ 금융 서비스 등이다.

배터리 사용량 모니터링하고 다 쓴 배터리 교체해주고



한국일보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와 한국배터리산업협회가 공동주최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한 비즈니스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발표 내용을 듣고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의 실제 사례는 출범식에 앞서 열린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한 비즈니스 포럼'(한국배터리산업협회·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공동주최)에서 자세히 공유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를 보유한 개인과 법인 고객이 전기차를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서비스인 '비-라이프케어'(B-Lifecare)와 전기이륜차(오토바이)의 배터리를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을 소개했다. 김주영 LG에너지솔루션 서비스사업모델팀장은 "2021년 시작한 B-라이프케어가 누적 이용자 2만 명을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의 사내 벤처인 피트인은 전기차 배터리 교체형 구독 서비스 모델을 공개했다. 피트인은 10분 내 전기차의 다 쓴 배터리를 100%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특정 차량만 교체 가능한 해외 업체와 다르게 피트인은 모든 차량에 적용 가능한 배터리 교체 기술을 지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세권 대표는 "영업용 택시는 24시간 운영돼야 하는데 배터리 충전 시간 때문에 운영이 어려워 전기차 택시 보급에 한계가 있었다"며 "6월부터 택시 5대에 배터리 교체 서비스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기아 EV3를 포함해 총 36대의 배터리 교체용 전기차를 서비스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사용 후 배터리 운송·보관 등 통합관리서비스'(현대글로비스), '전기차 전환 기업 대상 온실가스 감축 크레딧 서비스'(피엠그로우), '사용 후 배터리 재제조'(포엔) '배터리 상태평가 금융 및 선매각 금융서비스'(현대캐피탈) 등이 자세히 소개됐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장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국내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중국 전기차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배터리 서비스 산업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정부도 이날 결성된 민관 공동 협의체를 통해 8대 유망 서비스를 비롯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강경성 산업부 차관은 "유관 부처와 함께 관련 제도 정비 등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강희경 기자 kstar@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