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그래픽카드 회사가 AI 익스프레스 타고 빅테크 포식자로 등극 [뉴욕마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새너제이 AFP=뉴스1) 김성식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진행된 엔비디아 주최 연례 개발자 회의 'GTC 2024'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을 겨냥한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 블랙웰(제품명 B200)을 공개하고 있다. 2024.3.18.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새너제이 AFP=뉴스1) 김성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상승세를 기록한 가운데 나스닥과 S&P 500 지수는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엔비디아가 3% 이상의 주가상승으로 하루만에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에서 1위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을 동시에 제치고 왕좌에 올랐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거래일보다 56.76(0.15%) 상승한 38,834.86을 기록했다. S&P 500 지수도 13.8포인트(0.25%) 오른 5,487.03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은 5.21포인트(0.03%) 상승해 지수는 17,862.23에 마감했다.

이날 엔비디아는 장중 내내 3% 이상 상승하다가 종가 기준 전 거래일 대비 3.51% 상승해 이 세상에서 가장 가치 있는 상장 기업이 됐다. 이달 초 시가총액 3조 달러를 돌파하더니 보름여 만에 전세계 1위 자리를 꿰찬 것이다.

마호니 자산운용의 켄 마호니는 "투자자들은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인공지능(AI) 랠리를 이끄는 종목들에 가능한 오랫동안 타고 있으려 한다"며 "이제는 관련업계의 2등급 주식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고, 자금은 이번 분기에 선두 주자들 사이에서 바꿔타기 움직임이 감지된다"고 말했다.

이날 엔비디아와 함께 반도체주 가운데 퀄컴도 2.19% 상승하며 동조세를 보였다. TSMC도 2.39% 올랐고,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3.8% 상승했다.


빅테크들 이익 빨아들인 엔비디아...최상위 포식자로

머니투데이

[새너제이=AP/뉴시스] 젠슨 황 엔비디아(NVIDIA) CEO가 18일(현지시각) 미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개막한 엔비디아 개발자 콘퍼런스 '엔비디아 GTC'에 참석해 인공지능(AI)과 기후에 대해 기조연설하고 있다. 2024.03.19. /사진=민경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가 결국 이날 종가 기준으로 전세계 시가총액 1위 자리에 등극했다. 이달 초 애플을 제친 이후 반년 가량 1위를 차지해온 마이크로소프트(MS)까지 넘어선 것이다.

엔비디아는 장중 전거래일 대비 3.51% 상승해 시가총액이 3조3410억 달러를 넘어서며 MS의 전고점을 넘어섰다. MS는 전일 기록한 3조3320억 달러를 이후로 이날 0.45% 하락하면서 시총이 3조3170억원대로 미끄러졌다. 2위를 달리던 애플은 이날 1% 이상 주가가 떨어지면서 3조2860억 달러대로 밀려났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현재까지 170% 이상 상승했다. 지난달 1분기 실적을 보고한 이후 상승세가 가팔라졌다. 2022년 말 이후 주가는 9배 이상 올랐는데, 이는 AI(인공지능) 시대가 개막한 영향이다.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AI 반도체 칩 시장의 약 80%를 점유하고 있다. 이 사업은 오픈AI와 MS, 알파벳(구글), 아마존(AWS), 애플, 메타 등 세계 유수의 빅테크간 경쟁 심화로 인해 크게 성장하고 있다. 빅테크가 소비자들로부터 받은 영업이익을 사실상 엔비디아가 가치사슬 상위에서 포식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생성형 AI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점점 더 큰 데이터처리 수행기능을 실행하는 고성능 반도체 칩 프로세서가 필요하다. 현재 이 시장에서는 엔비디아 외에 AMD 등이 도전하고 있지만 성능 경쟁력 측면에서 초격차가 이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엔비디아는 지난 1분기에 데이터센터 사업 매출이 전년비 427% 증가한 226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전까지 그래픽 카드 정도를 만들던 회사였지만 AI 시장이 만개하면서 전체 매출의 약 86%가 이 사업에서 나오고 있다.

지난해까지 전세계 시총 1위를 달리던 애플은 최근 국내외 삼중고를 겪으면서 올해 1분기 내내 주가가 정체 혹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경쟁 빅테크들이 AI 사업에 몰두하던 수년간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을 노리고 이종사업에 매진하면서 경쟁력을 잃어버렸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게다가 유럽과 미국에서 반독점 및 부당 공정거래행위 관련 문제가 터지고, 미중 무역분쟁으로 중국에서 보이지 않는 불매운동이 일어나면서 시장 점유율을 뺏기고 있다.

엔비디아는 지난 1991년 설립돼 주로 게이머들을 위한 3D 타이틀을 실행하는 그래픽 카드칩 제조사로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수년전부터 암호화폐 시장이 창궐하면서 이 화폐를 채굴하는데 도움이 되는 칩과 클라우드 게임 시장으로 사업영역을 넓혀왔다.

최근 2년 전부터는 AI 시장이 빅뱅 양상을 보이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포브스(Forbes) 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공동 창업자이자 CEO(최고경영자)인 젠슨 황(Jensen Huang)의 순자산은 약 1,170억 달러로 증가했다. 세계에서 11번째로 부유한 사람이 된 것이다.

MS는 최근 챗GPT를 만든 오픈AI의 49% 대주주로 각광받으며 올해 주가가 약 20%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MS는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Azure)를 위해 엔비디아의 AI 칩을 구매하고 있다. MS는 최근 AI 모델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차세대 노트북인 코파일럿 플러스(Copilot+)를 출시하기도 했다.

엔비디아는 아직 다우존스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에 들지 못했다. 미국을 대표하는 30개 대기업에 시총 1위사가 없다는 것은 그만큼 이 회사의 성장 속도가 빨랐다는 의미다. 엔비디아는 최근 10대 1 주식 액면분할을 단행했다. 이를 통해 이 회사는 다우존스 지수에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 소비도 움츠러든다...왜? 돈이 없으니까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5월 소매판매가 전월비 0.1% 증가에 그쳤다. 추정치가 0.2%였던 것을 감안하면 미국인들의 소비가 기대보다 낮은 셈이다. 이날 미국 통계청(US Census Bureau)에 따르면 지난 5월 소매 및 식품 서비스 사전 추정치는 7031억 달러로 집계돼 전월비 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로는 2.3% 늘어난 결과다.

지난 4월의 결과는 전월과 동일한 것이었지만, 이번 발표에서 4월 수치는 전월비 0.2% 감소로 하향 조정됐다. 따라서 5월 수치는 4월과 비슷한 수준에서 근소하게 늘어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다우존스 추정치가 0.2% 성장을 예상했기 때문에 기대보다는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5월에 점포를 둔 소매판매는 전월비 0.2% 증가했고, 전년비로는 2.0% 올랐다. 하지만 무점포 소매업체 판매는 전년보다 6.8%나 늘어서 온라인 거래의 확장을 증명했다. 같은 기간에 음식서비스와 주점의 판매는 전년비 3.8% 늘었다.

고금리 상황에서도 지난해까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보복소비에 나섰던 미국인들은 올해 들어 지갑을 좀처럼 열지 않고 있다. 지난해 예상했던 경기침체가 오지 않았고 오히려 소비가 활성화되면서 중앙은행이 기대했던 금리인하를 미루고 있어서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6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65.6으로 집계대 전월비 3.5p 하락하면서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신용카드 부채는 역대 최고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미국 가계의 지난 1분기 신용카드 부채의 연체 비율은 8.9%로 13년 만에 가장 높게 집계됐다. 1분기 가계부채 잔액은 약 17조 6900억 달러로 전분기 보다 1,840억 달러(1.1%) 증가했고,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19년 말과 대비해서는 3조 5000억 달러나 늘어난 것이다.

가계 저축도 감소하고 있다. BMO 캐피털 마켓은 미국의 4월 저축률이 3.6%로 12개월 평균(5.2%)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소비진작은 지금와서 보면 미국 정부가 뿌린 각종 보조금으로 쌓았던 가계 저축을 소진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지난해 말 빚내서 한 소비의 영향으로 올해부터는 차상위층의 소비력이 바닥을 기고 있는 셈이다.

뉴욕 연준 자문위원인 윌버트 반 데르 클라우는 "신용카드 부채의 심각한 연체율은 젊은층과 저소득 가구의 재정적 스트레스가 증가했다는 신호"라고 지적했다.


테슬라 따라하던 피스커 파산신청..전기차 수요부진의 단면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기차 제조사 피스커가 신제품 모델 출시 약 1년 만에 파산보호신청을 냈다. 수요 부진을 겪고 있는 전기차 시장의 단면으로 경쟁력을 잃은 후발주자들의 몰락이 우려된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덴마크 자동차 디자이너 헨리크 피스커(Henrik Fisker)가 만든 두번째 자동차 벤처 기업인 피스커는 사실상 파산절차에 돌입했다.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7년간의 업력 동안 디자인과 설계를 주로하고 제조는 아웃소싱하는 형태로 운영돼 왔다. 생산시설 없이도 자동차 산업에 더 저렴하고 빠르게 진입할 방법을 모색했지만 결국 회사는 경쟁력을 갖기 전에 몰락한 것으로 보인다.

피스커는 지난 여름 최초의 전기차 모델인 오션(Ocean) SUV를 출시했다. 회사는 테슬라의 성공을 모방하려는 듯 했지만 끝은 초라하게 막을 내렸다. 피스커는 지난 3월까지만해도 잠재 투자자 유치와 공동 제조 계약을 놓고 대형 자동차 제조사들과 논의 중이라고 밝혔지만 협상은 성과를 내지 못하고 끝이 났다.

피스커는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투자자들로부터 10억 달러 이상을 모금했지만 보유 현금을 모두 소진했고 주요 투자자와의 부채 계약을 이행하지 못했다. 새롭게 내놓은 차량들은 판매가 원활하지 못했고, 수천 대의 재고만 남겼다.

피스커의 오션 SUV는 한 번의 배터리 충전으로 360마일을 주행할 수 있고 대당 4만 달러 미만의 가격으로 유명세를 얻었다. 그러나 이 차량은 소프트웨어 관련 문제로 인해 많은 리뷰어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뉴욕=박준식 특파원 win0479@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