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뉴욕증시, 엔비디아 시총 1위…S&P500·나스닥 역대 최고 마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욕증시, 엔비디아 시총 1위…S&P500·나스닥 역대 최고 마감

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NYSE)
출처: 연합뉴스 자료 사진



(뉴욕=연합뉴스) 정선영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는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열풍에 따른 투자심리가 호조를 보이며 3대 지수 모두 올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엔비디아 주가가 상승하면서 시가총액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당국자들은 금리인하를 하려면 데이터를 좀 더 봐야 한다는 신중론을 연달아 내놓았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6.76포인트(0.15%) 오른 38,834.86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3.80포인트(0.25%) 오른 5,487.03에,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5.21포인트(0.03%) 오른 17,862.23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주식시장은 엔비디아 주가에 초점을 맞췄다.

인공지능과 반도체 주식 선두 주자의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는 엔비디아는최근 주식시장 투자심리를 좌우하는 종목이다.

이날 엔비디아는 3.5% 오르면서 주가지수를 견인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나란히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7거래일 연속 고공행진을 펼쳤다.

엔비디아 주가는 장중 한때 136.33달러까지 올랐다. 시가총액은 3조3천350억달러를 웃돌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이날 주가지수는 인공지능과 반도체 관련 기대감이 이어지면서 고점을 높였다.

반도체 종목 주가는 호조를 보였다.

퀄컴과 TSMC는 각각 2%대, 1%대 상승했고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3% 이상 뛰었다.

금융사들이 대형 기술주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 점도 주식시장 투자 심리를 유지하는데 힘을 더했다.

JP모건은 애플 목표주가를 225달러에서 245달러로, 웰스파고는 엔비디아 목표주가를 125달러에서 155달러로 각각 높여 잡았다.

다만, '매그니피센트7' (M7·애플, 아마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플랫폼, 테슬라, 엔비디아) 중에서 엔비디아를 제외한 다른 종목들은 조정을 받았다.

애플과 알파벳A는 1%씩 하락했고, 메타플랫폼스(페이스북)도 1%대 내렸다. 아마존닷컴도 0.6%대 내렸고, 테슬라 역시 1.3%대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도 0.4% 정도 내렸다.

이날 오전에 나온 미국 소매판매 지표는 다소 부진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5월 미국의 소매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대비 0.1% 증가한 7천31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전망치 0.2% 증가를 밑돌았다.

소매판매 둔화는 오히려 금리인하 기대로 연결되며 주식시장에서 낙관론에 힘을 더했다.

미국 연준은 5월 산업생산이 계절 조정 기준 전월 대비 0.9%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 0.4% 상승을 웃도는 결과다.

오후에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당국자들의 신중론을 담은 발언이 쏟아졌다. 이는 금리인하에 대한 시장의 과도한 기대를 식혔다.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물가가 2% 목표치로 돌아가고 있는지를 말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며 통화정책에 인내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금리가 인하되기 위한 여건이 만들어지려면 몇 달이나 분기가 걸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존 윌리엄스 미국 뉴욕 연은 총재는 금리 인하는 데이터에 따라 결정을 내릴 것이라면서 구체적인 시점이나 연내 횟수에 대한 언급을 피했다.

연준이 금리를 내리려면 좋은 경제지표가 더 많이 필요하다며 아직은 경제가 불확실하다고 토마스 바킨 미국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평가했고, 로리 로건 댈러스연은 총재는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환영할 만한 소식이었지만 몇 달 더 좋아진 수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는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고, 추가 진전이 점진적일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지속적인 디스인플레이션에 대해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예상대로 경제가 진전된다면 올해 안에 정책 완화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언급했다.

CME그룹의 페드와치툴에 따르면 오는 9월에는 미 연준의 25bp 인하 확률은 61.1%로 높아졌다. 9월 동결 확률은 32.3%를 나타냈다. 올해 12월에는 2회째 금리인하 가능성이 45.9%로 높게 반영됐다.

업종 지수는 필수소비재, 에너지, 금융, 헬스, 산업, 부동산, 기술, 유틸리티 관련 지수는 모두 올랐다. 임의 소비재, 소재, 커뮤니케이션 관련 지수는 내렸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45포인트(3.53%) 내린 12.30에 거래됐다.

syjung@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