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2분기 이어 3분기 수출경기 '청신호'…AI 산업 성장에 반도체 호조 지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역협회 수출경기전망조사…3분기 EBSI 108.4, 2분기 연속 긍정 전망

주요 15개 품목 중 12개 수출 호조 전망…중동 리스크에 석유제품은 71.8 저조

뉴스1

11일 오전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다 2024.6.11/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한재준 기자 = 미중 갈등과 중동 지역 불안으로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지만 3분기에도 우리 기업의 수출 호조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9일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EBSI는 108.4로 2분기 연속 100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2분기 EBSI는 116.0이었다.

EBSI는 수출 경기에 대한 기업 전망을 수치화한 것으로 100보다 낮으면 수출 경기가 악화, 높으면 개선될 것으로 보는 전망이 많다는 의미다.

3분기 품목별 EBSI를 보면 주요 15대 품목 중 12개 품목이 100을 상회, 수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2분기(8개)보다 수출 여건 개선이 예상되는 품목이 확대됐다.

선박과 반도체의 3분기 EBSI는 각각 139.8, 125.2로 수출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가장 높았다. 액화천연가스(LNG)선 및 암모니아 운반선 같은 고부가가치 선박 발주 증가와 인공지능(AI) 산업 성장 영향이 반영됐다.

철강·비철 금속의 EBSI는 112.3으로 전분기(90.7)보다 큰 폭으로 상승해 해당 품목의 수출 경기가 강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 생활용품(123.5), 의료·정밀·광학기기(118.5), 자동차·자동차부품(117.3), 농수산물(108.5), 전기·전자제품(106.6), 기계류(106.0), 무선통신기기·부품(104.3), 가전(100.8), 화학공업(100.3)도 3분기 수출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반면 석유제품은 71.8로 낮았다. 중동 내 지정학적 긴장이 지속되면서 원유 공급 차질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영향이다.

섬유·의복제품(92.1)과 플라스틱·고무·가죽제품(81.4)도 EBSI가 100을 하회했다.

항목별로는 수출상담 및 계약(116.7), 수출대상국 경기(115.6) 등 5개 항목에서 수출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수입규제 및 통상마찰(73.5), 국제물류(86.4)는 미·EU 중국 간 갈등 심화와 홍해 사태 장기화, 중국발 물류 급등에 따른 해상운임 상승으로 3분기 전망이 어두웠다.

3분기 주요 수출 애로 요인으로는 전분기와 같이 원재료 가격 상승(19.7%)과 물류비용 상승(15.3%)이 꼽혔다. 원화환율 변동성 확대는 전분기 대비 2.5%포인트(p) 상승했다.

김규원 한국무역협회 연구원은 "경쟁국의 과잉생산 우려가 컸던 철강·비철금속도 심리가 개선되는 등 수출 회복세가 다수 품목으로 확산되는 점은 긍정적인 신호"라며 "다만 수출 호조세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 보호무역 조치 및 주요국 대선 등 대외변수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과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hanantwa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