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교권 추락

교대, 수능 4등급도 간다…"유례 없는 기피 상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성적 공개한 12개 대학…국·수·탐 평균 4등급 대학은 5개

서울교대 평균 3등급으로 하락…"강도 높은 대안 시급"

뉴스1

2023.6.1/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장성희 기자 = 임용 감소와 교권 침해 논란 등으로 교사의 인기가 시들하면서 수능평균 4등급으로도 교육대학교에 합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종로학원이 2024학년도 정시모집 최종 합격자 중 상위 70%의 국어·수학·탐구 백분위 점수를 분석한 결과, 성적을 공개한 12개 대학 중 5개 대학의 합격선은 평균 4등급이었다. 최상위권인 서울교대도 3등급대 합격선을 보였다.

국·수·탐 평균 4등급 이하(백분위 평균 77점 미만)인 대학은 △진주교대(75.2점) △제주대 초등교육(73.83점) △공주교대(71.42점) △청주교대(70.83점) △대구교대(67.75점)이었다.

분석에 따르면 성적을 공개한 12개 대학 중 10개 대학은 지난해보다 점수가 하락했다.

서울교대는 수능 평균 2등급 합격선이 무너진 3등급(백분위 평균 89점 미만) 대를 기록했다. 국·수·탐 평균은 87.67점으로 지난해 대비 3점 하락했다.

대구교대는 지난해 국·수·탐 평균 82.50점에서 14.75점이 하락했으며 공주교대는 같은 기간 82.15점에서 10.73점 떨어졌다. 광주교대는 78.17점으로 가까스로 평균 4등급을 면했으나 87.67점을 기록한 지난해 대비 9.50점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전주교대도 지난해 합격 점수상으로 볼 때 올해 국·수·탐 평균이 평균 4등급 이하로 추정된다. 전주교대까지 포함하면 수능 4등급 학생이 전국 13개 교대·초등교육과 중 6개 대학을 입학할 수 있는 셈이다.

일부 대학에선 지난해보다 점수가 올랐다. 이화여대 초등교육과는 87.67점에서 90.50점으로, 춘천교대는 80.17점에서 80.33점으로 올랐다.

이 같은 합격선 하락은 학생 수 감소로 임용 규모가 줄고 지난해부터 교권 추락 문제가 대두되면서 최상위권 학생들의 교대 진학을 기피가 크게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흐름이 지속되면 2025학년도 수시에서 수능 최저기준 미충족 등으로 수시에서 선발하지 못하고 정시로 이월되는 '수시이월'이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 학교 내신 등급이 저조해도 수능에 자신이 있으면 수시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것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교대 수능 합격선이 4등급까지 하락한 것은 사상 유례없는 상황이고, 모집 정원을 줄인 2025학년도에 우수 학생이 수시나 정시에 지원하는 급반전은 현재로서 기대할 수 없다"며 "상위권 학생의 선호를 높일 수 있는 매우 강도 높은 정책적 대안이 시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1

(종로학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