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 월급받고는 못참어"..2040세대 직장인 70% '이직 고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총 근로자 20~40대 근로자 1500명 대상 조사

파이낸셜뉴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경총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경총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20∼40대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이직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을 원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연봉에 대한 불만족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20~40대 정규직 근로자 1500명을 대상으로 '근로자 이직 트렌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 직장에서 다른 직장으로 이직을 고려 중이라는 답변이 69.5%(이직계획자)로 집계됐다. 특히 20대 응답자의 83.2%, 30대 응답자의 72.6%가 '직장 이직을 고려 중'이라고 답변해 연령대가 낮을수록 이직계획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계획자의 이직 고려 사유는 '금전 보상에 대한 불만족'이라는 응답이 61.5%로 가장 높았다. 그 외에 '과도한 업무량' 32.7%, '기대보다 낮은 평가' 27.4%, '회사실적 부진 등 미래에 대한 불안' 26.6%, '개인적 성장' 25.7% 순으로 조사됐다. 이직 고려 사유는 복수 응답이 가능했다.

응답자의 67.8%는 '이직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현재 직장이 첫 번째 직장'이라는 응답은 32.2% 수준에 불과했다. 연령대별로 ‘이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40대에서 79.8%, 30대에서 67.0%, 20대에서 49.6%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직 유경험자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이직 유경험자의 이직 횟수는 평균 2.8회로 집계되었고, 이직 유경험자 중 '3회 이상' 이직을 경험한 비중이 47.1%로 높았다. 과거 이직 성공 요인을 물은 결과 '직무 관련 경력'이라는 응답이 56.3%로 가장 많았고 '차별화된 직무역량' 27.9%, '직무 관련 자격증' 7.3%, '인맥 관리' 5.8% 순으로 집계됐다.

개인에게 있어 이직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선 '연봉 인상 수단'이라는 응답이 49.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개인적 성장 기회'라는 응답이 31.8%, '역량 검증 수단'이라는 응답이 12.3%였다.

이직 유경험자의 68.5%가 현 직장으로 이직하기 직전 직장보다 높은 연봉으로 이직했는데 이전과 비교해 '1~10% 상승'이라는 응답이 33.8%로 가장 많았고, '11~30% 상승'이라는 응답은 27.0%, '30% 초과 상승'이라는 응답은 7.7%로 집계됐다. 직전 직장과 연봉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낮아졌다는 응답은 31.5%였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젊은 직장인을 중심으로 이직을 계획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직장인 세 명 중 두 명이 이직을 경험했을 정도로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점차 옅어져 가는 상황"이라며 "직장인 이직의 가장 큰 동기가 금전적 보상과 연관된 것으로 조사된 만큼, 기업은 우수 인재 이탈 방지를 위해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 도입 등 공정한 평가·보상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