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오늘의 미디어 시장

방송사업 매출, 10년 만에 '역성장'…"매출 줄고, 제작비 늘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방통위, 2023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
방송사업 매출 4.7%↓…지상파 매출 10%↓


더팩트

방송통신위원회가 2023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을 19일 발표했다. /더팩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최문정 기자] 지난해 전채 방송사업 매출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상파의 타격이 컸다. 방송광고 매출도 지난 10년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가운데, 프로그램 제작 비용이 늘어나며 전체 방송사업자의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9일 지상파, 유료방송,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등 361개 방송사업자의 2023년 재산상황 공표집을 발표했다.

이를 살펴보면, 지난해 방송사업매출은 전년 대비 4.7% 감소한 18조9734억원으로 집계됐다. 방송사업 매출은 지난 10년간 줄곧 증가세를 보였지만, 이번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지난해는 IPTV를 제외한 모든 사업자들의 매출이 역성장하며 하락세를 기록한 것으로 풀이된다.

IPTV의 경우 전년 대비 2.3% 증가한 5조72억원을 기록했다. 지상파는 10.2% 감소한 3조7309억원, PP는 1.3% 줄어든 7조1087억원, 위성은 2.7% 감소한 4920억원, 콘텐츠제작사(CP)는 2.7% 감소한 8980억원,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는 3.9% 줄어든 1조733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방송사업자의 영업이익은 3조5억원으로 21.4% 줄었다. IPTV 영업이익은 2조5211억원으로 0.5%증가했다. 지상파는 전년 대비 적자전환 했다. 영업 손실은 289억원으로 집계됐다. PP는 71.8% 줄어든 3078억원, 위성은 12.5% 감소한 442억원, SO는 51.8% 감소한 631억원, CP는 30.2% 줄어든 934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방송광고 매출은 전년 대비 19% 감소한 2조4983억원이다. 방송광고매출은 2021년에 일시적으로 증가했으나 2022년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고, 지난해 대부분의 사업자군이 감소세를 보였다.

지상파는 23.3% 감소한 9273억원, PP는 16.9% 감소한 1조3600억원, IPTV는 24.7% 감소한 724억원, 위성은 10.4% 감소한 275억원이다. SO의 경우 0.8% 증가한 1105억원으로 집계됐다.

방송사업자의 주요 수익원별 매출액 집계 결과, 수신료, 재송신매출, 프로그램제공매출, 홈쇼핑송출수수료는 증가했고 광고, 협찬, 프로그램판매 등은 줄었다.

지난해 SO, 위성, IPTV 등 유료방송사업자 전체의 기본채널수신료 매출액은 3조689억원으로 전년보다 4.4% 줄었다. 사업자군 별로는 SO는 4770억원으로 2.8% 줄었고, 위성은 2440억원으로 4.1% 감소했다. IPTV는 2조3479억원으로 7% 증가했다.

지난해 방송사업자의 프로그램 제작비는 5조6488억원으로 전년보다 0.7%늘었다. 지상파의 제작비는 2조8370억원(0.8%↓)으로 전체 방송사업자 제작비의 50.2% 점유하고 있으며, PP는 2조3721억원(0.8%↑)으로 42%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방송사업매출 점유율은 홈쇼핑PP(18.6%→18.4%) 및 지상파(20.9%→19.7%), 일반PP(19.7%→19.1%)는 감소했다. 반면, IPTV(24.6%→26.4%)는 증가했고 SO(9.1%→9.1%)는 전년과 동일했다.

munn09@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