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모바일 게임 소식

그라비티, 인디게임 지원 결실…초읽기 들어간 '이상한 나라의 라그나로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디게임 개발사가 만든 '이상한 나라의 라그나로크' 출시 앞둬

"인디게임 자본 어려움 해소, 게임 산업의 질적 성장 도모"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오동현 기자 = "개발 공간, 인력, 자본 등이 부족해 한계에 부딪히는 인디 게임 개발사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더 좋은 게임을 시장에 선보여 게임 산업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글로벌 게임 기업 그라비티가 인디 게임 개발사 지원에 나서는 이유다.

19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그라비티는 유망 개발사들이 안정적으로 개발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취지로 관련 지원 사업을 진행 중이다.

최근엔 인디게임 지원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그라비티의 지원을 통해 나인티세컨즈가 개발한 모바일 신작 ‘이상한 나라의 라그나로크’가 사전예약을 진행 중이다. 나인티세컨즈는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이 많은 경력 20년 차 개발진 위주의 소규모 인디 게임 개발사다.

모바일 힐링 수집형 타이쿤 게임 '이상한 나라의 라그나로크'는 기존의 전투 중심의 라그나로크 IP(지식재산권) 타이틀과 달리 몬스터들의 꿈의 섬 '원더랜드'를 주 무대로 펼쳐지는 라그나로크 IP 최초의 타이쿤 장르 게임이다. 이용자들은 몬스터를 수집해 육성할 수 있으며, 모험, 건물 제작, 아이템 생산 등 몬스터 중심의 다양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그라비티는 2022년부터 나인티세컨즈와 함께 라그나로크 IP를 활용한 게임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 라그나로크 IP를 활용한 타이쿤 장르 게임 개발에 착수했다. 그라비티는 개발 초기 단계부터 게임 기획을 함께 작업하며 라그나로크 IP 특유의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감성을 돋보일 수 있도록 개발 방향성을 수립했다. 또한 개발 인프라 조성 등 개발에 필요한 비용부터 론칭 전후 마케팅, 홍보 활동까지 전방위적 지원에 나서고 있다.

이와 함께 그라비티는 독창적이고 참신한 PC·콘솔 게임을 발굴하기 위한 '스타트 위드 그라비티(START with GRAVITY)' 프로젝트도 이어나가고 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Wetory ▲ ALTF42 ▲심연의 작은 존재들 ▲피그로맨스 ▲파이널 나이트 ▲라이트 오디세이 ▲샴블즈 등 다양한 장르 게임의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그라비티는 본사와 해외 여러 지역의 지사에서 보유한 게임 퍼블리싱 노하우와 역량을 바탕으로 게임 출시 경험이 부족한 개발사에게 개발 외적인 면에서 도움을 주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마케팅, 홍보, 운영, 현지화 작업 등 업무를 도맡고 있다.

이외에도 그라비티는 지난 2022년 충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게임 제작 및 글로벌 진출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고 라그나로크 IP를 활용한 게임 제작 지원 사업도 진행한 바 있다.

정일태 그라비티 사업 이사는 "그라비티는 게임산업의 발전을 위해 글로벌 게임사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자 인디 게임 개발사와 동반 성장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며 "더 많은 인디 게임 개발사들이 빛을 볼 수 있도록, 업계 파트너로서 다방면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마일게이트 퓨처랩, 2010년부터 인디게임 육성


그라비티 외에도 스마일게이트 등 국내 대형 게임사들의 인디게임 육성 노력이 더해지고 있다. 스마일게이트 퓨처랩은 창업 역량을 갖춘 인디게임 창작자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스마일게이트멤버십 인디게임 부문(SGM)'을 10년 넘게 운영하고 있다. 지난달 16기 모집을 완료했다.

스마일게이트 퓨처랩은 창작 지원금(1인당 200만원, 팀당 최대 4인까지 지원)과 개발에 몰두할 수 있는 공간을 지원한다. 오픈 베타데이 기간 동안 유저들의 피드백을 수집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또 인디게임&컬처 페스티벌 버닝비버 2024에 참여해 부스를 차릴 수 있는 특전도 마련했다.

황주훈 퓨처랩 팀장은 "2010년에 첫 선을 보인 SGM은 청년 창작자들이 자신의 콘텐츠를 완성하고, 창업까지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마일게이트의 대표적인 창작 프로그램"이라며 "프로젝트를 완성할 때까지 네트워킹, 유저 피드백 등 다양한 혜택을 지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dong85@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