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푸틴, 중국 북한 베트남 방문 공통 키워드 '탈(脫) 달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평양=AP/뉴시스]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북한 평양에서 북러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6.19.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구자룡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올해 1분기 베트남과 무역의 거의 60%가 자국 통화로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리아노보스티 통신은 19일 푸틴의 이같은 발언이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공식 출판물에 소개되어 있다고 전했다.

푸틴은 '러시아와 베트남 : 오랜 세월에 걸쳐 검증된 우정'이라는 글에서 “이는 국제 무역과 투자에서 주로 사용되는 통화를 포기하려는 세계적인 추세와 일치한다"고 말했다.

푸틴이 베트남으로 향하는 비행기에 있을 시간에 보도된 이같은 내용은 푸틴이 베트남을 포함 최근 방문한 국가들에서 ‘탈(脫) 달러’ 세력을 규합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 중 하나인 것으로 풀이된다.

푸틴 대통령은 19일 북한 방문에 앞서 노동신문 기고에서도 ‘서방 통제없는 무역과 결제’를 강조했다.

앞서 푸틴의 지난달 중국 방문에서 발표된 공동 성명에서도 ‘양국 간 무역, 투자, 대출 및 기타 경제 거래에서 자국 통화의 비중 확대’가 포함됐다.

이는 러시아가 2022년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서방의 금융 제재가 달러 기반의 국제금융질서가 바탕에 깔려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는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망에서 배제됐다.

최근 이탈리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는 서방에 동결된 러시아 자산의 이자 등 수익을 활용해 500억달러(68조9750억원)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하는데 합의했다. 이에대해 러시아는 '혹독한 댓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jdragon@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