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글로벌 전기차, EU 對中관세 폭탄에 고심… 가격 올리고 脫중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EU, 최고 48% 관세 예고 시장 요동

테슬라 “7월 모델3 가격 인상 예상”

볼보 등 생산기지 中서 유럽으로

“韓, 신흥시장서 中과 경쟁 불가피”

동아일보

중국 전기자동차 비야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이 중국산 전기차에 최고 48%의 관세 부과를 예고하자 중국을 핵심 생산기지이자 소비 시장으로 삼아왔던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중국에서 생산되는 비중이 50% 이상인 테슬라는 유럽 시장에 가격 인상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반발했다. 스텔란티스와 볼보는 일부 전기차 모델 생산을 중국에서 유럽으로 전환하는 등 글로벌 전기차 시장 구도가 요동치는 모습이다.

EU의 이번 조치는 최근 몇 년간 중국산 전기차의 유럽 수출량이 급증한 것이 배경이다. ‘전기차 주도권’을 중국에 뺏길 수 없다는 유럽 내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EU 집행위원회는 다음 달부터 기존 중국 업체들에 적용하던 10% 관세에 최대 38%를 추가할 계획이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유럽으로 수출된 중국산 전기차는 65만6000대로 2020년(5만 대)보다 1212% 증가했다. 지난해 중국 전체 전기차 수출량 중 유럽 비중은 41.3%에 달한다. 올해 1∼4월에도 중국산 전기차 21만2000대가 유럽으로 수출됐다.

유럽으로 수출되는 중국산 전기차 가운데 28%를 차지하는 테슬라는 최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7월 모델3 차량가 인상이 예상된다”고 공지했다.

테슬라 측은 구체적인 인상 규모와 시기를 밝히진 않았지만 “중국에서 제조돼 EU로 수출되는 전기차에 수입 관세가 추가로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

생산 기지를 아예 유럽으로 전환하려는 업체들도 나타나고 있다. 스텔란티스는 중국 현지에서 생산하던 전기차 일부를 유럽에서 만들겠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더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볼보자동차도 전기차 EX30과 EX90의 생산을 중국에서 벨기에로 옮길 계획이다.

독일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중국 당국의 보복 조치를 우려하고 있다. EU의 관세 부과 조치가 현실화하면 중국도 수입차들에 높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중국 판매 비중이 30%대로 높은 독일 3사(메르세데스벤츠, BMW, 폭스바겐그룹)는 EU의 조치에 대해 “자유무역주의에 반하는 행위”라며 비판했다. 독일 자동차산업연합(VDA)은 “이번 조치로 잠정적 피해는 독일 등 유럽 자동차산업이 거둘 이익보다 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조치가 오히려 중국 토종 브랜드들의 유럽 진출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4월 체리(Chery)는 스페인 생산 공장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상하이자동차공업(SAIC)도 유럽에서 전기차 생산 공장 부지를 선정하는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 라이벌’로 올라선 비야디(BYD) 또한 내년부터 헝가리 새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김주홍 KAMA 전무는 “중국계 브랜드들이 유럽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모색함과 동시에 무역 제재를 피해 동남아 등 신흥 시장으로의 진출을 꾀하고 있어 한국 기업과의 격전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