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 항공우주국(NASA) 우주비행사 매튜 도미니크가 촬영한 오로라와 우주선 스타라이너의 모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주가 만들어 낸 환상적인 오로라와 인류의 피조물이 함께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포착됐다. 최근 ISS에서 임무수행 중인 미 항공우주국(NASA) 우주비행사 매튜 도미니크는 자신의 ‘엑스’에 지난 15일(이하 현지시간) 촬영한 흥미로운 사진과 영상을 올렸다.
해당 사진의 주인공은 지구를 둘러싼 아름다운 오로라와 원뿔형 형태의 미 보잉사의 우주캡슐 ‘CST-100 스타라이너’(Starliner)다. 도미니크는 ISS의 창밖으로 녹색빛으로 펼쳐진 오로라와 함께 스타라이너를 촬영했는데, 마치 우주선이 레이저를 발사하는듯한 모습이다. 이에대해 도미니크는 “큐폴라 창문 밖으로 최근 오로라를 많이 보고있다”면서 “오로라가 스타라이너의 서비스 모듈추진기와 잘 정렬되는 타이밍이 좋았다”고 밝혔다. 큐폴라는 ISS에 설치된 관측용 모듈로 최고의 ‘명당자리’로 꼽힌다. 우주비행사들은 큐폴라에 있는 7개의 커다란 창을 통해 지구와 우주를 관측한다.
![]() |
지난 6일 국제우주정거장과 도킹을 준비 중인 스타라이너의 모습. NASA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보잉이 개발한 스타라이너가 지난 5일 처음으로 NASA 우주비행사 2명을 태우고 발사돼 하루 뒤 ISS에 도킹하는데 성공했다. 당초 스타라이너는 1주일 가량을 ISS에 머문뒤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었으나 추진기 테스트 및 우주 유영 일정 등을 이유로 22일로 연기된 상태다. 스타라이너는 높이 5m, 지름 4.6m의 원뿔형 우주선으로 최대 7명이 탈 수 있으며 10회까지 재사용할 수 있다.
![]() |
지난해 3월 NASA 우주비행사 조시 카사다가 환상적인 오로라의 모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우주에서도 관측이 가능한 오로라는 태양표면 폭발로 우주공간으로부터 날아온 전기 입자가 지구자기(地球磁氣) 변화에 의해 고도 100∼500㎞ 상공에서 대기 중 산소분자와 충돌해서 생기는 방전현상이다. 오로라는 ‘새벽’이라는 뜻의 라틴어 ‘아우로라’에서 유래했다. 오로라는 북반구와 남반구 고위도 지방에서 주로 목격돼 극광(極光)이라 불리며 목성, 토성 등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
박종익 기자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