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지금은 평균연봉 1억 ‘신의 직장’이지만”…업무 절반은 AI가 대체한다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씨티그룹 보고서 공개
“생성형 AI, 은행 산업 혁신”
생명과학 분야 대체율 낮아


매일경제

‘인공지능(AI)’ 단어 앞에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들고 근무하는 사람들의 형상을 한 피규어들이 놓여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발전으로 엔비디아 주주들은 환호하고 있지만, 금융 부분 종사자들의 근심은 커질 전망이다. 일자리 중 AI로 대체 가능성이 큰 산업이 금융 부문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씨티그룹은 19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은행 업무 중 54%가 AI에 의해 자동화된다고 분석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은행 업종에 이어 보험(48%), 에너지(43%), 자본시장(40%), 여행(38%), 소프트웨어·플랫폼(36%), 소매(34%), 커뮤니케이션·미디어(33%), 공공서비스(30%), 자동차(30%) 등 업종 순으로 AI에 의한 업무 자동화 정도가 클 것으로 씨티그룹은 전망했다. 반면 생명과학(25%), 화학(24%), 천연자원(20%) 업종은 AI로 자동화할 수 있는 직무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주요 은행들은 직원들의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에 도움을 될 것으로 보고 지난해부터 서서히 AI를 도입해 각종 실험을 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씨티그룹은 4만 명에 달하는 개발자들에게 다양한 AI 기술을 실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했다. 간단한 질문이나 명령에 따라 문장이나 에세이 등을 생산할 수 있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수백 쪽에 달하는 규정을 빠르게 검토하고 있다.

JP모건체이스는 AI 기술과 관련한 인재 영입에 나섰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는 이 기술을 활용하면 고용주들이 주당 근무일을 3.5일로 단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도이체방크는 AI를 활용해 부유층 고객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ING그룹은 잠재적인 채무 불이행자 선별에 활용하고 있다.

데이비드 그리피스 씨티그룹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블룸버그에 “생성형 AI가 은행 산업을 혁신하고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씨티에서는 회사와 직원 역량 강화를 위해 안전하고 책임 있는 방식으로 생성형 AI를 구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씨티그룹은 AI가 업계 전반에 걸쳐 일부 직무를 대체해도 인력 감축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 기술의 활용이 규정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AI 관리자와 AI 전문 준법감시인을 다수 고용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